•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미디어평론] 저수지 게임(2017)

- 우리가 할 일은 분명하다

그 자리는, 에너지 도둑을 위한 최적의 관직이었다. 모든 것을 빨아들였다. 아무도 입 벙긋도 하지 않았다. 그리고 커다란 저수지가, 그러니까 이 나라 사상초유의 거대한 금고가 생겨났다. 캐나다를 거쳐 조세 회피처 케이맨 군도로 들어가기만 하면 사라지는 돈들이 어마어마했다. 전부, 혈세였다.

영화 <저수지 게임>은 ‘프로젝트 부(不)’의 다큐멘터리 3부작 중 <더 플랜>에 이은 두 번째 작품이다. 뉴욕, 토론토, 케이맨 군도 등 해외를 넘나들며 그분의 비자금 저수지를 찾는 주진우 기자의 추적 과정을 따라다니는 과정을 그렸다. 하도 거액이라 실감도 안 나는 그 숫자들은 케이맨 군도에 닿으면 겉으로는 (모조리)공중분해 됐다. 실제로는 저수지 안에 차곡차곡 고였을 것이라는 게, 영화 <저수지 게임>의 추정이다. “도둑적으로 완벽한”이라는 세간의 구설은 빈말이 아니었다.

돈을 대출해 주고 ‘손해’를 감수한 은행은 있지만, 그 흔한 소송 한 번이 없었다. 은행은 스스로 모든 관련 자료와 ‘빚’을 말소시켰다. 누가 요청하지도 않았는데, 은행 스스로 그랬다. 그러면서 그 은행을 믿고(?) 분양사기에 ‘투자’했던 수천 명의 피해자들에 대해서는 모르쇠다. ‘은행 빚’이라면 피눈물 날 사연을 가진 대다수 서민들 입장에선 아연실색할 일이다. 대체 은행이 왜? 물론, 단 한 사람에게만 적용됐던 특혜다. 영화 속에서는.

말하자면 거기는 ‘은행’이 아니었다. 한 개인의 사적 금고였다. 그런데 저수지를 판 ‘노동력’도 흘러들어간 ‘물’도 관리인마저, 공공재라고 밖엔 여길 수 없는 정황이다. 이를 어쩔 것인가? 210억짜리 ‘작은’ 사건에 대해 소송만 걸면, ‘저수지’의 규모 혹은 면모가 드러난다고 한다. 그런데, 아무도 입을 열지 않는다. 손도 대지 않았다. 지난 9년 동안은.

이 영화에는 (의외로)속 시원한 추적과정 따위는 없다. “그런데, 농협은 왜 소송을 안 하는 거죠?”라는 질문을 하며 국내외 여러 곳을 도는 고단한 노정이 반복될 뿐이다. 결국은 누군가 용단을 내려 ‘제보’를 해주어야만 풀릴 퍼즐들이다. 그래서 이렇게 영화로 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조감도 전체가 보일 뿐 아니라, 퍼즐의 빈 곳이 한눈에 드러나기 때문이다. 나머지 조각들을 다 찾아낼 때만이, 우리의 혈세와 세월과 눈물을 모두 빨아들인 가공할 저수지가 가늠될 것이다. ‘밑 빠진 독’이었던 한 시절과 열심히 일을 해도 점점 더 가난해지기만 했던 (실제로)뼈 빠지는 노동지옥의 시작점이 감지될 것이다. 영화가 흥행해, 현실로 줄 소송이 실현되기를 기다리고 싶어진다. 저수지에 저당 잡혔던 ‘미래’의 물길이 터질 그날을, 그 돈이 모두의 희망으로 탈바꿈하게 될 극적인 순간을 말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