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1.9℃
  • 구름많음강릉 7.0℃
  • 구름많음서울 9.4℃
  • 대전 7.5℃
  • 흐림대구 10.8℃
  • 울산 9.0℃
  • 구름많음광주 8.6℃
  • 부산 9.7℃
  • 구름많음고창 6.5℃
  • 흐림제주 11.2℃
  • 구름많음강화 9.5℃
  • 흐림보은 7.1℃
  • 구름많음금산 8.7℃
  • 구름많음강진군 8.4℃
  • 흐림경주시 8.2℃
  • 흐림거제 11.9℃
기상청 제공

[All about 표현력]

햇볕과 햇빛, 벌리다’와 ‘벌이다’,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햇볕'과 '햇빛'

A1. ‘햇빛’은 ‘해+빛’으로, 태양광선을 뜻합니다. 시신경을 자극하여 사물을 분별하게 해주는 물질인 빛, 즉 밝기에 초점을 둔 말입니다. 이에 비해 ‘햇볕’은 ‘해+볕’으로, 해가 내리쬐는 뜨거운 기운이나 해가 들어서 따뜻한 곳(특히 땅)을 가리킵니다. 즉, ‘햇볕’에는 열기가 필수적이죠. 

‘햇볕’이 따갑게 내리쬐어서 몹시 뜨거운 상태를 ‘불볕’, ‘땡볕’, ‘뙤약볕’이라고 하는 데서도 알 수 있듯이, ‘햇볕’은 온기나 더위와 관계가 깊습니다. 그러니 달이나 별처럼 서늘한 분위기를 풍기는 천체에 ‘볕’을 붙여서 ‘달볕’이니 ‘별볕’이니 할 수는 없습니다. (반면 ‘달빛’, ‘별빛’은 가능합니다.) 한편 ‘햇빛’은 시각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어서, ‘햇빛’ 때문에 눈이 부시다고 해야지 ‘햇볕’ 때문에 눈이 부시다고 하면 어색합니다.

 · 햇볕에 나가 놀지 말아라. 

 · 문틈으로 비쳐드는 햇빛이 따사롭다.

 · 햇빛이 내리쬐는 거리를 그와 손 잡고 걷고 싶다.

 

‘벌리다’와 ‘벌이다’

A2. ‘벌리다’와 ‘벌이다’는 헷갈리기 쉬운 낱말들입니다. ‘벌리다’는 맞닿아 있던 것을 서로 떨어지도록 하는 일입니다. 서로 붙어 있거나 가까이 있던 것을 ‘벌리면’ 간격이나 틈, 사이가 생기거나 더 커지게 마련인데요. 그래서 “앞사람과 간격을 벌리다”, “점수를 벌려놓았다” 같은 쓰임이 생겨납니다. 또 오므리거나 접었던 것을 펴거나 열 때도 ‘벌리다’를 씁니다. “양팔을 옆으로 벌리다” 같은 경우입니다.

한편 ‘벌이다’는 ‘행하다, 펼치다’가 기본 뜻입니다. 특히 대립, 다툼, 경쟁처럼 다소 과격하게 남의 이목을 끄는 식으로 행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그래서 싸움, 전쟁, 말다툼, 노름판, 잔치, 시위 등은 ‘벌이다’와 잘 호응합니다. 사업, 가게 등도 ‘벌인다’고 하며, 캠페인처럼 어떤 일을 계획하고 행하는 것도 ‘벌인다’고 합니다. 

‘벌이다’에는 여러 물건을 평평한 곳에 하나씩 늘어놓아서 모두 잘 보이게 한다는 뜻이 있습니다. “좌판에 물건을 벌이다”, “진열대 위에 책을 죽 벌이다” 같은 경우입니다.

 · 조개껍질을 벌려 조갯살을 채취한다.

 · 일을 벌여 놓기만 하고 마무리를 짓지 못하는 성격이다.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A3. ‘부딪치다’와 ‘부딪히다’는 발음이 똑같아서 혼동이 자주 일어납니다. 그러나 ‘부딪치다’가 ‘부딪다’에 ‘치’를 넣은 힘줌말이고 ‘부딪히다’는 ‘부딪다’에 ‘히’가 들어간 피동사라는 점을 생각하면 두 낱말을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요컨대 ‘부딪치다’는 내 쪽에서 능동적으로 충돌하는 것이고, ‘부딪히다’는 나는 가만히 있는데 다른 것이 와서 충돌하는 것입니다. 

어떤 사람이 새로운 현실이나 세계, 어려움 등을 맞이하여 피하지 않고 맞서 싸울 때에는 “한번 부딪쳐서 싸워봐라”가 어울립니다. 힘있게 접촉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데에는 능동적 표현인 ‘부딪치다’가 제격입니다. 

한편 ‘부딪히다’에는 의도하지 않게 어떤 상태에 이르게 된다는 뜻이 있습니다. “인생을 살다보면 예상하지 못했던 상황에 곧잘 부딪히게 된다”는 ‘부딪히다’의 수동적 어감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내가 능동적으로 움직여서 어떤 상황을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 뜻하지 않게 어떤 상황이 나에게로 다가온 것이기 때문입니다.

 · 그는 몸을 아까지 않고 상대 선수와 부딪쳐가며 경기를 치렀다.

 

 

[ 정답: O, X, X ]

관련기사





[사설] 왜 읽고 생각하고 쓰고 토론해야 하는가? 읽는다는 것은 모든 공부의 시작이다. 지식의 습득은 읽는 것에서 시작한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식 정보를 수집해 핵심 가치를 파악하고 새로운 지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것들을 창출해 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읽기다. 각 대학들이 철학, 역사, 문학, 음악, 미술 같은 인문·예술적 소양이 없으면 창의적인 인재가 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고전과 명저 읽기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교과 과정으로 끌어들여 왔다. 고전과 명저란 역사와 세월을 통해 걸러진 책들이며, 그 시대의 가장 첨예한 문제를 저자의 세계관으로 풀어낸, 삶에 대한 통찰이 담겨 있는 책이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발하는 정신의 등대 역할을 하는 것이 고전과 명저라 할 수 있다. 각 기업들도 신입사원을 뽑는 데 있어서 자신의 재능과 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에세이와 작품집을 제출하는 등의 특별 전형을 통해 면접만으로 인재를 선발하거나, 인문학책을 토대로 지원자들 간의 토론 또는 면접관과의 토론을 통해 인재를 선발하는 등 어느 때보다 인문과 예술적 소양을 중시하고 있다. 심지어 인문학과 예술을 모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