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4.6℃
  • 맑음강릉 -0.3℃
  • 맑음서울 -3.9℃
  • 맑음대전 -2.8℃
  • 구름조금대구 0.3℃
  • 구름많음울산 1.7℃
  • 맑음광주 -2.2℃
  • 구름많음부산 3.6℃
  • 흐림고창 -2.9℃
  • 흐림제주 2.2℃
  • 맑음강화 -4.7℃
  • 맑음보은 -3.3℃
  • 구름많음금산 -3.0℃
  • 구름많음강진군 -1.1℃
  • 구름많음경주시 0.8℃
  • 구름조금거제 3.2℃
기상청 제공

대구의 상징


지난 호 유리 피라미드 얘기를 꺼냈더니 비판의 화살이 날아왔다. 외우(畏友) 안세권 교수가 필자가 급박한 현실을 외면하고 탐미적 도피에 빠져 있는 것 아닌가 물었다. 나름대로 현실을 말했으나 너무 우원(迂遠)했던가 보다.

나는 대구의 교외 무태에서 태어나 두 주도 되기 전에 중국 장춘으로 데려가져서 크다가 해방 일년 전에 귀국했다. 어린 나의 눈에 고국의 모든 것이 너무 작아 실망했다. 내 속을 본 어머니는 나를 고려대학의 전신 보성전문학교로 데리고 갔다. 인가가 거의 없는 곳에 넓은 소나무 숲을 뚫고 하늘로 치솟은 화강암 석탑 도서관을 보았을 때 받은 감동을 요즈음 젊은이에게 전할 길이 없다.

일제가 지은 경성제국대학, 미국인 선교사들이 지은 연희전문, 이화전문보다도 우리나라 사람이 지은 보성전문이 훨씬 더 우람하고 패기에 넘쳐 있다는 사실이 큰 자긍심을 심어줬다. 인촌 김성수 선생은 나의 영웅이 됐다. 학교, 신전, 사찰 같은 건물은 정신의 표상이고 의지의 발현이며 미래 프로젝트의 선언이기도 하다.

40년 전 계명대학 캠퍼스를 처음 봤을 때 인상 깊었다. 미국의 작은 인문대학의 교육철학이 잘 나타나 있는 것에 애착이 갔다. 그 후 계명대는 엄청나게 커져 국제규모의 종합대학이 됐다. 얼마 전 성서의 새 캠퍼스를 찾았을 때, 깨끗한 교정과 붉은 벽돌로 단장된 많은 건물에서 독특한 분위기를 느꼈다. 박물관, 한학촌은 도약하는 대학의 이상과 포부를 담고 있었다.

대구의 상징이 무엇일까. 아마도 팔공산과 달성공원이 꼽힐 듯한데, 산은 대구사람이 만든 것이 아니므로 자랑거리라 할 수 없고, 달성공원을 꼽자니 너무 초라하고 약소하여 말을 꺼내기도 민망하다.

대구가 낙후한 원인은 여러 가지로 복잡하나, 가장 큰 요인은 주력 산업인 방직공업을 후발 산업 국가들에게 뺐긴 때문이다. 수성구의 부동산 가격이 아무리 올라도 도시 전체의 침체를 극복하는 데에 아무 도움도 줄 수 없다. 토박이들이 도심의 작은 규모의 재산을 한사코 놓지 않으니 큰 규모의 도시계획은 엄두도 낼 수 없다.

결국 하이테크와 부가가치 높은 산업으로의 전환밖에 달리 길이 없고, 이에 걸맞은 새 도시를 교외에 발전시키는 수밖에 없다. 대학이 그 중심이 된다면 물론 금상첨화다.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경북대학이다. 현재의 캠퍼스를 일부 정리하여 교외로 옮기거나 다른 대학과 통합을 추진 중이라는 소문이 있다. 대규모의 건물 증축이 있을 가능성이 큰데, 경북대가 옛날 보성전문이 했던 것처럼 다시 도약하는 대구의 상징물을 지을 수 있을까? 나는 이에 대해 회의적이다. 경북대와 여러모로 비교가 되는 서울대학의 관악 캠퍼스를 익히 알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인사 여러분의 진노를 기꺼이 받기로 하고 고언을 드리면, 보수적 관료주의, 민주적 하향 평준화, 평등적 나눠먹기, 향토애를 내세운 집단 이기주의, 촌스러운 애국심이 총동원 되어 관악 캠퍼스의 복제품을 대구에 세울 것이라고 나는 생각하고 있다. 만에 하나 새 건물 증축의 마스터플랜을 국제현상설계로 정하는 일이 벌어진다면 나는 큰 쇼크-기쁨의 쇼크-를 받아 쓰러질 것이다.

그러면 경북대학이 하지 못할 일을 계명대학이 해낼 수 있을까? 무에서 큰 학교를 일구어 낸 그 역사를 생각할 때 오히려 그 가능성이 클 수 있다.

한국이 초고속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루어 전 세계의 찬탄과 부러움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라의 품위와 격조를 높이지 못하고 있는 것, 이것이 문제다. 여의도의 63빌딩이 상징하는 졸부의 행진을 더 이상 염려할 것 없다. 영종도 공항에서 뜨는 고공비행도 그동안 이룬 관성으로 순항할 것이다.

이제 연간 소득 2만불 3만불 하는 유치한 얘기 좀 거두고, 발상 전환하여 다른 차원으로 날아오를 상상력의 날개를 펼 때가 왔다. 나의 안태(安胎) 고향 대구가 새로운 비상의 시발점이 되지 말라는 법이 있는가? 계명대학이 대구를 대표하는 새로운 상징물을 우리에게 선보일 날을 기다린다.




[사설] 왜 읽고 생각하고 쓰고 토론해야 하는가? 읽는다는 것은 모든 공부의 시작이다. 지식의 습득은 읽는 것에서 시작한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식 정보를 수집해 핵심 가치를 파악하고 새로운 지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것들을 창출해 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읽기다. 각 대학들이 철학, 역사, 문학, 음악, 미술 같은 인문·예술적 소양이 없으면 창의적인 인재가 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고전과 명저 읽기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교과 과정으로 끌어들여 왔다. 고전과 명저란 역사와 세월을 통해 걸러진 책들이며, 그 시대의 가장 첨예한 문제를 저자의 세계관으로 풀어낸, 삶에 대한 통찰이 담겨 있는 책이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발하는 정신의 등대 역할을 하는 것이 고전과 명저라 할 수 있다. 각 기업들도 신입사원을 뽑는 데 있어서 자신의 재능과 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에세이와 작품집을 제출하는 등의 특별 전형을 통해 면접만으로 인재를 선발하거나, 인문학책을 토대로 지원자들 간의 토론 또는 면접관과의 토론을 통해 인재를 선발하는 등 어느 때보다 인문과 예술적 소양을 중시하고 있다. 심지어 인문학과 예술을 모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