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2.2℃
  • 맑음강릉 -6.3℃
  • 맑음서울 -10.1℃
  • 맑음대전 -8.9℃
  • 맑음대구 -5.3℃
  • 맑음울산 -5.9℃
  • 맑음광주 -4.6℃
  • 맑음부산 -3.8℃
  • 맑음고창 -7.0℃
  • 구름많음제주 2.8℃
  • 맑음강화 -12.0℃
  • 맑음보은 -10.1℃
  • 맑음금산 -10.0℃
  • 맑음강진군 -3.7℃
  • 맑음경주시 -6.5℃
  • 맑음거제 -3.5℃
기상청 제공

[문다헌에서] 자찬묘지명

국립중앙박물관에선 지난 8월 28일까지 한 달 반 동안 ‘고려묘지명’ 기획특별전이 있었다. 묘지명은 무덤의 주인공에 대한 출생, 이력, 가족관계, 벼슬과 행적 등 개인의 일대기를 적은 서(序)와 주인공의 일생을 압축해 운문형식으로 지은 명(銘)을 돌에 새겨 무덤 안에 넣은 기록물이다. 내가 고려 묘지명 실물들을 처음 공개한 이번 전시를 유심히 살펴 본 가장 큰 이유는 묘지명이 금석문이므로 고려 서예사 연구에 있어 자료적 가치가 크기 때문이었다. 우리나라 서예는 지금까지 주로 중국 글씨를 습자의 법첩으로 삼아 왔는데 이제부터 다양한 서체의 금석기 넘치는 고려 묘지명 서체를 우리 법첩으로 개발하여야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차근차근 보던 중 묘지명의 다음 내용이 내 마음을 흔들었다.

‘아! 죽음은 누구나 겪는 일,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살다가 죽는 것은 낮과 밤이 바뀌고 추위와 더위가 서로 교대하는 것과 같으니 어찌 죽음만 싫어하고 사는 것만 좋아할 일인가? 다만 공명을 미처 세우지 못하였는데도 서둘러 멀리 떠나 처자와 벗들에게 오래도록 슬프고 아픈 고통을 준 것이 애석할 따름이다’ 삶과 죽음의 생생한 애환이 이토록 절실한 것이 인생이란 것이다. 그런데 전시장 마지막에 자기 묘지명을 스스로 지어보라는 자찬묘지명 연습장이 설치되어 있었다. 나는 그 앞에서 한동안 멍해지면서 빈약한 내 삶의 내용에 대한 회한과 부끄러움, 왜 그렇게밖에 못했노하는 분노 같은 자책으로 범벅이 된 왜소한 존재를 보았다. 나는 부모님에게 어떤 존재였는가? 처자식에게 따뜻하였는가? 제자들에겐 진실하였는가? 가난한 이웃들을 살펴보았는가? 나에게는 자찬묘지명을 채울 이런 질문에 대한 해답이 슬프게도 없었다.

관련기사





[독자마당] 봉사활동으로 채워지는 꿈 영원히 미성년에 머물러 있을 줄 알았던 내가 성년이 되었다. 봉사활동을 즐겨 하던 어린아이는 어느덧 스물두 살의 대학교 3학년이 되어 ‘청소년’의 끝자락을 향해 가고 있다. 몇 년간 봉사해 오니, 이것이 적성에 맞는 것 같다는 작은 불씨 하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진로를 향한 작은 불씨는 단순히 봉사활동으로 뿌듯함과 성취감을 느끼는 것이 아닌, 직업으로 삼아 다양한 연령층을 위해 복지를 지원하고, 클라이언트의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는 큰 불씨로 번지게 되어 사회복지학과에 진학하였다. 대학교에서 한 첫 봉사활동은 학교에서 진행하는 독거노인분들께 ‘편지 작성 및 생필품 포장, 카네이션 제작’이었다. 비록 정기적인 봉사는 아니었지만, 빼곡히 적은 편지를 통해 마음을 전해 드릴 수 있었기에 뜻깊음은 배가 되었다. 하지만 조금의 아쉬움은 있었다. 봉사활동이라고 하면 직접 대상자와 소통할 줄 알았는데 해당 봉사는 대상자와 면담하지 못하고, 뒤에서 전달해 드리는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렇기에 가장 기억에 남는 봉사활동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장애아동어린이집‘에서 활동한 겨울 캠프 활동 보조일 것이다. 이곳에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아동들이 다른 길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