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칼럼] 빨간날의 의미

  • 등록 2012.10.16 00:14:41
크게보기

지난 10월 9일은 한글날이었다. 하지만 사람들에겐 그저 검정색 숫자 ‘9’이며 월요병에서 가까스로 벗어난 다음날인 ‘화요일’에 불과했다. 이것이 ‘한글날’의 현주소이다.

한글날은 훈민정음 반포 500주년이던 1946년 공휴일로 공식 지정됐다. 그러다 잦은 휴일로 생산에 차질이 빚어진다는 이유로 지난 1990년 10월 9일을 마지막으로 공휴일에서 제외됐다. 그 후 2006년 국경일로 승격되었지만, 경제가 우선시되어야 한다는 경제단체의 주장으로 여태껏 공휴일로 지정되지 못하고 있다. 우리가 앞장서 세종대왕의 한글창제의 정신을 기리고 기념해야할 날을 오히려 권력과 경제와 자본의 논리를 앞세워 짓밟고 있는 셈이다. 대외적으로 한글의 위상은 나날이 높아져 가지만, 정작 우리는 그 위상과 국격을 떨어뜨리고 있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가 실시한 여론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들의 83.6%가 한글날 공휴일 지정을 찬성한다고 답하였다. 이는 2009년 68.8%보다 14.8% 포인트, 2011년도 조사 시 76.3%보다 7.3% 포인트 증가한 수치이다. 찬성 이유 중 가장 큰 포인트를 차지한 것은 ‘국민들이 한글의 가치 및 중요성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어서’ 이었다. 이처럼 이미 많은 국민들 또한 한글날을 공휴일로 재지정하여 국경일에 걸맞는 가치를 부여해야 한다는 점에 찬성하고 있다. 물론 공휴일이 된다고 해서 한글을 아끼고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 저절로 생기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반대로 분명한 사실은 한글날의 공휴일 탈락으로 인해 국민들의 한글에 대한 관심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글날을 알고 있다는 답변은 64%로, 2009년도에 88.1%보다 24.1% 포인트 감소하였다. 달력 속의 검정색 숫자와 빨간색 숫자의 의미는 분명 다르다. 우리는 자연스럽게 달력의 ‘빨간 숫자’를 보면 그 의미를 생각하게 된다. 이렇듯 한글날을 공휴일로 지정한다는 것은 단지 ‘노는 날’ 이상의 의미이다. 국경일이지만 그저 보통날이 되어 국민들은 그 날의 의미를 깊게 새기지 못하고, 언제인지도 모른 채 지내는 것이다.

‘10월 9일’이라는 날이 어느 기준으로 수많은 공휴일의 우선순위에서 제외되었는지 아직 납득하기 어렵다. 경제활동에 비효율적이라는 이유로 ‘한글날’이 뒷전이 되는 현실이 안타깝고 답답할 뿐이다. 한글은 우리의 위대한 유산임에 틀림없다. 민족의 얼이 새겨진 진정한 국경일인 한글날에 합당한 자리를 돌려줘야한다. 달력 속 돌아오는 557번째 한글날은 빨간색 숫자 ‘9’가 새겨져있길 바란다.
김혜민 기자 dkdlel2487@kmu.ac.kr
< 저작권자 ⓒ gokmu.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PC버전으로 보기

계명대신문 [42601]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아람관 105호 전화번호 : 053) 580-5731 저작권자 ⓒ gokmu.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