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대란이 지속되면서 새로운 돌파구로 ‘창업’이 급부상했다. 창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졸업 후 취업이라는 전통적인 사회 참여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적극적으로 고용을 창출하는 형태로 변화를 꾀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대학가에서 확산되는 창업보육 열풍과 벤처기업 창업은 새로운 창조경제에 밑거름이 될 것이다. 대학생들의 창업은 글로벌 시대에 인재를 육성하는 측면에서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리 평탄하지 않다. 대학생은 학업과 사업을 병행하면서 사업이 여의치 않을 경우 쉽게 일을 접고 학생 신분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창업에 대한 분명한 목적의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창업은 그만큼 성공 확률이 낮아진다. 또한 대학생과 유관기관 간의 연계를 강화하고, 대학생 창업 관련 프로그램을 면밀하게 행할 필요가 있다.
대학생 창업은 외부의 지원만으로 성공할 수 없다. 안이하게 창업에 나서면 성과를 내기 어렵다. 대학생들로 하여금 끊임없이 창업에 대한 아이디어를 내게 하고, 그에 따른 자금 지원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창업 아이템 경진대회와 창업스쿨을 통해 도출된 아이템을 사업화할 수 있는 제도와 방편이 마련되어야 하며, 정부와 대학에서는 대학생에게 우수 창업기업 견학 등의 창업훈련을 지속적으로 해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예비 창업자인 대학생들 역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자세를 키워야 한다. 실패를 두려워하는 우리나라의 풍토와 학생들의 자포자기와 같은 태도는 창업인재들을 방해하는 큰 요인이다. 학생들의 마음가짐도 중요하지만, 정부와 대학에서도 학생들의 자신감을 고취시킬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