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으로 돌아갈 꿈 10년 동안 안 꾼 채로
十年無夢得還家(십년무몽득환가)
푸른 산에 홀로 서서 물가를 바라보네
獨立靑峰野水涯(독립청봉야수애)
산 비 뚝, 그치고 나니 온 천지가 적막한데
天地寂寥山雨歇(천지적요산우헐)
몇 생애를 더 닦아야 매화가 될까 몰라
幾生修得到梅花(기생수득도매화)
* 원래 제목 : 「무이산중(武夷山中)」
사방득(1226-1289)은 옛날 우리나라 선비들이 『고문진보(古文眞寶)』 다음으로 많이 읽었던 『문장궤범(文章軌範)』이란 책을 편찬한 남송(南宋)의 저명 문인이다. 하지만 그는 원(元)나라의 침략으로 남송이 마지막 숨을 헐떡거릴 때, 끝의 끝까지 저항을 했던 만고의 충신으로 더욱 유명하다. 결국 나라가 멸망하자, 그는 무이산 속에 숨어살면서 망한 나라의 신하로서의 지조를 끝까지 지키고자 했다.
그러나 원나라는 사방득이 숨어사는 것조차도 허락하지 않았다. 여러 번 불러도 나오지 않자, 마침내 강제로 서울로 끌고 가서 그의 마음을 바꾸어 보려고 했던 것이다. 하지만 그는 끝까지 원나라에 굴복하지 않고, 음식을 딱 끊어 굶어죽고 말았다. 경술국치를 맞아 24일 간의 단식 끝에 절명한 한말의 의병장 향산 이만도의 삶을 떠올리게 하는 대목이다.
인용한 작품은 사방득이 의병을 일으켜 원나라에 대항하다 실패한 뒤에, 10여 년 동안 무이산에 숨어살 때 지은 시다. 보다시피 그는 지난 10년 동안 집으로 돌아가기는커녕, 돌아가는 꿈조차도 꾼 적이 없었다. 나라가 멸망하고 아내와 두 아들마저도 적의 포로로 잡혀간 상황에서 돌아갈 집이 어디 있으랴. 적막한 천지간 산봉우리 위에 우뚝 서서 망연자실하며 세월을 보내고 있을 뿐이다.
보다시피 그는 “몇 생애를 더 닦아야 매화가 될” 수 있겠느냐고 나직이 한숨을 쉬고 있지만, 그의 삶에는 이미 펄펄 휘날리는 눈보라 속에서 환하게 꽃망울을 터뜨리는 매화꽃 향기가 훅, 풍긴다. 그런데 나는? 도대체 나는 몇 생애를 더 닦아야 매화가 될까? 열 생애, 백 생애를 두고 닦으면 언젠가 매화가 되기는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