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회 창비청소년문학상을 수상한 김려령의 장편소설 ‘완득이’가 단행본으로 출간된 지도 약 1년 정도 지난 것 같다. 굳이 문학상 수상작이라는 거창한 타이틀을 달지 않더라도 이 작품은 진지한 주제의식을 놓지 않으면서도 흥미진진하게, 때로는 황당하고 유쾌하게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가공할 필력을 바탕으로 그동안 비단 청소년뿐만 아니라 모든 세대의 독자들에게 울림을 안겨주었다.
제목에서 느껴지듯이 ‘완득이’는 활력 만점의 성장소설이다. 주인공 완득이는 가난한 집안에 공부도 못하지만 싸움만큼은 나이트클럽 조폭 삼촌들로부터의 조기교육 덕에 누구에게도 지지 않는 열일곱 살 소년이다. 철천지 원수에서 차츰 묘한 애증관계로 변해가는 담임선생 똥주를 만나면서 완득이의 인생은 급반전을 하게 된다. 킥복싱을 배우면서 세상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는 법을 익히고, 어릴 적 헤어졌던 어머니를 다시 만나면서 애정을 표현하는 법을 알게 되는 완득이는 소설 속에서 조금씩 성장한다.
소설 ‘완득이’는 주인공부터 조연에 이르기까지, 현실과는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는 개성 만점의 등장인물들이 한데 모여 묘한 조화를 이룬다. 뜨거운 청춘 완득이와 학교 선생 같은 구석은 도저히 눈 씻고 찾아봐도 없는 담임선생 똥주의 멋진 콤비네이션에 주인공들과 절묘한 조화를 이루는 조연들까지 어느 하나 군더더기가 없다.
소설 ‘완득이’에서 등장인물 못지않게 주목을 끄는 것은 경쾌하고 속도감 있는 전개이다. 거침없이 내달리는 이야기 속에 빠져들다 보면, 마치 자신이 유쾌하게 떠들고 있는 한 무리의 청소년들 사이에 끼어 함께 신나게 웃고 떠들기도 하며, 때로는 진지하게 자신의 미래를 고민하며 현실에서의 울분을 토하고 있는 듯한 착각 속에 빠지는 것을 경험할 것이다.
소설 ‘완득이’가 전하는 또 하나의 진면목은 한바탕 웃음 뒤에 숨어 있는 가슴 찡한 감동이다. 완득이네 가족은 말보다는 주먹이 앞서는 완득이, 장애인 아버지와 베트남인 어머니, 말더듬이 삼촌까지 현실적으로 제대로 대접받기 쉽지 않을 듯하다. 하지만 이들 가족은 정해진 길을 맹목적으로 따라가는 대신, 느리고 어눌하지만 세상과 온몸으로 부딪쳐 자신만의 길을 찾아간다. 소설 ‘완득이’는 마지막 장면까지도 이렇게 감동과 유쾌함을 절묘하게 조화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제 거창하고 대단하지 않아도 좋다. 작은 하루가 모여 큰 하루가 된다. 평범하지만 단단하고 꽉 찬 하루를 꿰어 훗날 근사한 인생 목걸이로 완성할 것이다. 그나저나 꼭꼭 숨은 TKO승, 빨리 찾아내야 하는데, 어째 지금은.... 에라, ‘못찾겠다, 꾀꼬리!”
따뜻한 봄날 오후, 햇살 좋은 교정에 누워 완득이와 담임 똥주의 못 말리는 대결에 함께 끼어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