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별을 해야할 땐 과감하면서도 냉정해야 한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반드시 신중함이란 감정이 내포되어 있어야만 한다. 사랑을 확인하고 싶어서, 이별하자면 붙잡을 것 같아서 함부로 이별이란 단어를 사용해선 안 된다. 이별은 연인사이의 믿음을 송두리째 삼킬 수 있을 만큼 위험한 단어이기 때문이다.
이별은 최후의 선택이 되어야 하며, 농담으로라도 건네선 안 될 말이다. 또한 확인되지 않은 불확실한 감정만으로 이별을 감행하려 해선 안 된다. 쉽게 사랑에 빠질 수 있는 사람은 많아도 지금껏 당신이 느낄 수 있었던 감정을 대신해 줄 사람은 드물기 때문이다.
만약 고심 끝에 이별할 결심을 했다면, 그땐 확실하게 이별을 선포하도록 하자.
너무 미안해서, 상대방이 착해서, 불쌍해서 같은 이유를 들먹이며 질질 끌어선 안 된다. 사치스러운 배려 따윈 필요 없다. 오히려 서로를 힘들게만 만들 뿐이다. 이럴 때일수록 냉정을 잃어선 안 된다. 또한 이미 그 사람에게서 마음이 떠났음에도 불구하고 이별에 적응하지 못해 그 사람 주위를 서성거려서도 안 된다.(특히 남자들의 경우 처음엔 마음이 홀가분해지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사무치는 그리움에 빠지게 된다.) 그렇게 이별하게 되면 사랑의 의미도 무색해져 버리고, 당신은 극심한 공허감에 시달리게 될 것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가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또 다른 누군가의 곁에서 웃을 수 있게 된다. 아이러니하지만 그것이 바로 연애의 길이며 인생의 과정인 것이다.
헤어지고 나서 그때가 너무 그리우면? 느낄 수는 있는데 다시 되돌아 갈 수 없다면? 허탈하게 텅 빈 마음은 슬픔으로 가득 찰 뿐이다.
이별하고 나서 후회해도 한 번만 더 돌아봐 줄 것을 애원해봐도 소용없다. 왜냐하면 그동안 상대방은 충분히 당신에게 많은 기회를 줬기 때문이니깐. 당신만 몰랐을 뿐이었다. 그리고 이제 더 이상 그 사람은 없다.
| 여자친구와 서로 끝내자는 말이 나올 만큼 싸웠어요. 이제 나도 지쳐서 그만 헤어지고 싶은데, 솔직히 말하면 주변에서 수근거리는게 싫습니다. 우리는 CC였거든요. CC는 깨지면 주변에서 안좋은 소문도 많이 나고 그렇잖아요. 그런건 싫거든요. 잘 헤어지는 방법을 알고 싶어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