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8.2℃
  • 맑음강릉 -4.7℃
  • 맑음서울 -7.1℃
  • 맑음대전 -5.7℃
  • 맑음대구 -4.0℃
  • 맑음울산 -3.5℃
  • 맑음광주 -3.5℃
  • 구름많음부산 -1.9℃
  • 구름많음고창 -3.5℃
  • 제주 1.4℃
  • 맑음강화 -9.0℃
  • 맑음보은 -5.8℃
  • 맑음금산 -6.3℃
  • 구름많음강진군 -3.2℃
  • 맑음경주시 -4.3℃
  • 구름많음거제 -1.6℃
기상청 제공

[미디어평론] ‘삼시세끼’, 먹는다는 것의 관계성

- 우리가 먹는 것이 곧 우리다

그가 만든 요리를 한 입 맛보고 싶었다. 아니다. 그냥 그가 요리하는 모습을 보는 것 자체가 즐거웠다. 지난 겨울의 화제작 tvN <삼시세끼-어촌편> 얘기다. 배우 차승원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차줌마’라는 별명으로 통하게 됐다. 드라마에서 여전히 매력적이고 섹시한 주인공을 도맡아하는 그가, 아무렇지도 않게 삼시 세끼를 척척 차려내는 ‘능숙한 주부’ 같은 모습으로 ‘캐스팅’된 건 사실 뜻밖이었다. 처음에는 ‘제법인데’ 하는 흥미로움이었고, 점점 지나면서는 그의 손동작이며 심지어 말 한마디며 숨소리까지 주시하며 보게 되었다. 완전히 빠져들었다는 말이 맞겠다.

그렇다. 요리는 다만 완성된 음식 ‘한 그릇’이 아니었다. 누군가 먹을 사람이 정해지고 그때부터 온갖 아이디어와 칼질과 손놀림과 마음 씀씀이가 필요해지는 전체 과정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그것을 대단히 투박하면서 진실하게 담아냈다. 어떤 요리 프로그램도 담지 못했던 본질이었다. 먹는다는 것에서 우리가 보고자 하는 것, 느끼고자 하는 것, 결국 ‘집밥’을 눈물겹게 그리워하는 이유들까지 말이다.

그래서 유해진과 손호준이 바다에 나가 잡아온 좀 어설픈 것들을 차승원이 마치 ‘어부의 아내’라도 된 양, ‘집’에 있던 재료들을 가지고 쓱쓱 만들어 딱 알맞은 때에 맞춰 내오자 시청자들은 마치 더운 김나는 밥상이라도 받는 기분이었다. 그런 요리들을 만드는 소소한 과정을 옆에서 지켜보는 게, 누군가를 위해 온갖 지혜와 재주를 총동원하는 걸 구경하는 게, 그게 왜 그리 좋았을까. 손님 초대를 해놓고 식구들끼리 부산을 떠는 듯한 떠들썩함도 좋았고, 있는 재료들을 ‘대충’ 그러나 최대한 그럴듯하게 활용해 뚝딱 한 상 차려내는 솜씨에는 감탄이 나왔다. 있는 걸 활용하고 없는 것은 아쉬워하지 않고 꾸밈없이 차려낸 그 정성이 곧 맛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말하자면 일상 같은 느낌이었다.

손님이든 식구든 나 아닌 다른 사람을 위해, 허기든 추억이든 미각이든 아무튼 그를 위해 요리를 하는 그야말로 ‘해 먹이는’ 과정의 진지함이 퍽 새삼스러웠다. 제작진이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우연이든 연출이든 우리는 그 맛에 반했다. 애초 멤버였던 장근석의 하차와 통 편집이라는 식구 셋 중 한 명이 싹둑 잘려나간 최악의 결핍상황을, 마치 그들의 만재도 생활처럼 ‘있으면 있는 대로 없으면 없는 대로’ 이겨낸 의연함마저 이 놀라운 인기의 비결이 된 것일까. 레시피와 정해진 절차는 그저 한 ‘방식’일 뿐이다. 삶도 요리도 공식대로 되지만은 않으리니, 부족한 대로 손 가는 대로 한 끼 밥상을 차려봄이 어떠하리.




[사설] 왜 읽고 생각하고 쓰고 토론해야 하는가? 읽는다는 것은 모든 공부의 시작이다. 지식의 습득은 읽는 것에서 시작한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식 정보를 수집해 핵심 가치를 파악하고 새로운 지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것들을 창출해 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읽기다. 각 대학들이 철학, 역사, 문학, 음악, 미술 같은 인문·예술적 소양이 없으면 창의적인 인재가 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고전과 명저 읽기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교과 과정으로 끌어들여 왔다. 고전과 명저란 역사와 세월을 통해 걸러진 책들이며, 그 시대의 가장 첨예한 문제를 저자의 세계관으로 풀어낸, 삶에 대한 통찰이 담겨 있는 책이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발하는 정신의 등대 역할을 하는 것이 고전과 명저라 할 수 있다. 각 기업들도 신입사원을 뽑는 데 있어서 자신의 재능과 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에세이와 작품집을 제출하는 등의 특별 전형을 통해 면접만으로 인재를 선발하거나, 인문학책을 토대로 지원자들 간의 토론 또는 면접관과의 토론을 통해 인재를 선발하는 등 어느 때보다 인문과 예술적 소양을 중시하고 있다. 심지어 인문학과 예술을 모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