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정진 기자 =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22일 북한의 미사용 연료봉을 한국이 매입하는 방안이 조만간 재개될 6자회담에서 논의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날 비공식 기자간담회에서 북한의 영변 핵시설 불능화를 위한 11개 조치 중 ▲사용후 연료봉 제거 ▲제어봉 구동장치 불능화 ▲미사용 연료봉 처리 등 3가지만 남았다고 소개한 뒤 이 같이 말했다.
정부는 작년부터 플루토늄의 원자재인 미사용 연료봉을 우리가 구입하는 방안을 검토해 왔지만 6자회담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지는 않았다.
북측이 보유한 미사용 연료봉은 국내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당국자는 북한의 핵프로그램 신고와 관련, "북한이 신고서 내용을 최종 마무리하는 과정은 미국과 같이 하는 것"이라며 "성 김 미 국무부 한국과장이 그동안 두 차례 방북, 협의한 수준에서 아마 마무리 협의가 진행되지 않겠는가 생각한다"고 말해 북.미 간 물밑접촉이 계속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또 북한의 신고서 제출에 맞춰 북한을 테러지원국에서 해제하는 절차에 착수한다는 미국의 방침에 대해 일본이 지난 18∼19일 열린 한.미.일 6자 수석대표 회동에서 미국 측에 우려를 표명했다고 소개했다.
이 당국자는 "일본이 미국의 테러지원국 해제 방침에 대해 명확한 반대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일본과 북한 간에 해결되지 않고 있는 양자현안이 남아있는 상황이어서 우려를 전달했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 및 정치인들은 `북한의 자국인 납치문제가 진전되지 않으면 북한을 테러지원국에서 해제하면 안된다'며 미국을 상대로 로비를 해왔다.
이 당국자는 하지만 "일본도 6자회담의 책임있는 참가국으로써 해야 할 의무를 깊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면서 "일본도 어려운 문제(납치자 문제)가 해결되는 진척도를 봐서 가급적 조속히 경제.에너지 지원사업에 동참하고 싶다는 의도를 명백히 밝혔다"고 전했다.
한편 우리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 숙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조만간 러시아를 방문해 양자협의를 가질 예정이라고 이 당국자는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