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연합뉴스) 홍창진 기자 = 경북도청 이전 예정지 확정과 관련, 지역 전문가들은 8일 도청이전에 소요될 막대한 재정확보와 탈락지역의 승복이 이전사업의 성공조건이라고 한결같이 지적했다.
이들 전문가는 성공적인 도청 이전을 통해 21세기 경북도 발전의 전기를 마련하고 글로벌 시대와 지역경제 활성화의 비전을 실현하는 획기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 영남대 이성근 교수(지역개발학과) = 도청이전 지원특별법에 따라 국가로부터 도청이전 소요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것과 도청이전추진단이 수립할 신도시기본계획 등을 차질없이 이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예정지 결정에 대한 지자체와 도민의 의견을 수용, 화합분위기를 조성하고 평가과정에서 탈락한 시ㆍ군들에 대해 경북도 차원의 배려가 있어야 한다.
▲ 계명대 김철수 교수(도시공학과) = 도청이전을 구체적으로 추진하려면 중앙정부의 예산지원 등 재정확보가 최우선의 관건이다. 경북도 전체의 균형발전과 지역개발효과를 극대화할 지혜를 짜내야 한다. 새로운 경북도청이 들어설 신도시는 행정기능과 주거기능, 교육ㆍ레저기능, 첨단산업시설 등이 들어서는 복합도시 성격이 강해 도시규모나 개별기능에 대한 상세한 연구 및 실행이 따라야 한다.
▲ 대구경북연구원 홍철 원장 =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를 거친만큼 이전지 확정 이후 당면한 사안은 결과에 대한 승복이다. 도청 이전이 대구경북 경제통합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을 본다. 다음은 인구 10만명 정도의 신도시를 조성하는데 필요한 막대한 예산 확보이다. 그리고 도청과 산하기관, 사업소 등을 어떻게 배치해 이전효과를 극대화할지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고민할 시점이다.
▲ 경북대 이원욱 교수(행정학과) = 도청 이전지는 경북의 허브일뿐 아니라 글로벌 시대에 걸맞는 접근성과 교통수단을 갖춰야 한다. 항공기와 고속철도 등 외국인들이 편리하게 접근할 수단이 필요하다. 외국의 경우 지방행정수도는 상징적 의미이지 큰 경제적 발전을 약속하는 조건은 되지 못한다. 경북 혼자서 살아남기 힘든만큼 근접 자치단체인 대구와의 상호교류 강화를 고민해야 한다.
▲ 대구경실련 조광현 사무처장 = 결정된 입지에 대해 반발과 이의가 예상돼 성공적 이전을 위해서는 이 부분을 해결해야 한다. 어떻게 후보지를 결정했는지 떳떳히 밝혀야겠고 탈락 지역에도 승복해야 한다.
realism@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realism
(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