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조준형 기자 = 통일부는 지난 6월 고교 교과서에서 국민의 정부 대북정책을 `햇볕정책'에서 `화해협력정책'으로 대체 표기하는 방안을 건의한 것과 관련, 햇볕정책을 교과서에서 삭제할 의도가 없었다고 밝혔다.
김호년 통일부 대변인은 22일 브리핑에서 국민의 정부 대북정책은 공식적으로 `화해협력정책'이었던 만큼 공식명칭을 쓰자는 의견을 낸 것이라고 소개한 뒤 "(화해협력정책의 별칭인) `햇볕정책'이 공식적인 정책이었다고 말하는 것은 사실에 부합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교과서에서 햇볕정책이라는 표현을) 삭제할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 과거 대북정책을 평가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말씀을 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그것은 아니다"며 "이것은 사실에 관한 문제"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통일부가 지난 5월 발간한 `통일교육지침서'에서는 햇볕정책과 화해협력정책이라는 표현을 병기하다 6월 교육과학기술부에 대한 의견 제시와 7월 발간한 `2008 통일문제 이해'에서는 `화해협력정책'만 쓴데 대해 "그렇다면 내년에 나올 `통일문제 이해'에 `햇볕정책'이라는 말을 넣겠다"며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이밖에 김 대변인은 최근 북한 방송의 대남 비난 추이와 관련, 평양방송과 조선중앙방송을 기준으로 7월말부터 8월말까지 주당 40~60여회였던 것이 9월 들어 주당 20~30여회 수준으로 줄었다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