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 국방부가 종교적 신념에 의해 입영을 거부한 사람을 일컫는 통일된 용어를 1월 중에 확정해 사용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15일 `종교적 병역거부자' 또는 `양심적 병역거부자'로 불려온 입영 거부자들을 `집총(執銃)거부자'나 `입영거부자' `병역거부자' `군복무거부자' `병역이행 관련 소수자' `종교적 병역거부자' 등의 용어를 놓고 막판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종교적 병역거부자'라는 용어의 경우 `여호와의 증인' 등 일부 종교를 믿는 사람에 한정된다는 점에서 부적절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 사용하고 있는 `양심적 병역거부자'도 정상적으로 병역을 수행하는 사람들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부적절하다고 국방부는 판단하고 있다.
최근 병무청의 의뢰를 받아 '진석용정책연구소'가 작성한 `종교적 사유 등에 의한 입영거부자 사회복무체계 편입방안 연구' 자료는 "양심적 병역거부라는 용어는 정상적으로 병역을 수행하는 사람들에게 거부감을 줄 우려가 있고,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의 행위가 입영거부로 나타나고 있으며 입영거부의 목적이 집총거부에 있는 만큼 `집총거부자'가 가장 정확한 용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집총거부자'란 용어가 채택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병무청에 따르면 2000년부터 작년 10월까지 병역을 거부한 사람은 모두 4천958명으로, 이 중 `여호와의 증인' 신자가 4천925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종교 문제가 아닌 `양심'에 의한 입영거부자 30명, 불교신자 3명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국방부는 현재 1명뿐인 원불교 군종장교를 추가로 1명 더 늘리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2006년 450여명이던 군내 원불교 신자가 작년에 1천270명 수준으로 3배가량 늘어나 해당 군종장교도 1명 늘리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