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종수.조재영 기자 = 정부가 어음 만기도래로 위기에 처한 쌍용자동차 협력업체들을 지원하기 위한 어음 만기연장 등 추가 조치를 더 이상 마련하지 않고 금융권에 처리를 완전히 맡기기로 했다.
이에 따라 협력업체들은 자구노력과 생존 가능성 등을 토대로 금융권의 지원을 얻어내야 하는 상황을 맞게 됐다.
지식경제부 당국자는 30일 "쌍용차 만기 어음문제에 대해 정부가 별도의 조치를 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금융권의 결정에 맡긴다는 게 정부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이런 쪽으로 방침을 정한 것은 글로벌 동반 위기로 구조조정을 해야하는 상황에서 특정 업체 문제로 더 이상 시간을 끌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전 업종으로 금융권 주도의 구조조정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특정기업의 협력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나서는 것이 형평성 논란을 가져올 수 있고 쌍용차가 법원에 회생계획 인가신청을 내 채권.채무가 동결된 상황에서 뾰족한 해결책을 내놓기 어렵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지경부 당국자는 "쌍용차 협력업체는 다른 업체의 협력사와 마찬가지로 중소기업 패스트트랙 제도에 따른 지원판정을 받거나 정부와 기업,은행권이 함께 마련한 상생보증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렇게 되면 실질적으로 쌍용차 전속 협력업체나 쌍용차에 비중이 큰 협력업체들은 특단의 자구노력이 없는 한 부도 등의 상황을 맞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한편, 은행들은 이날 만기 도래한 쌍용차 발행 어음을 우선 부도 처리키로 했다.
또 신한은행 등 은행들은 이날 만기가 도래한 쌍용차 발행 어음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간 협력업체들의 대출금을 일반대출로 전환하는 방안 등을 검토키로 했다.
1월 중에 만기가 도래하는 933억 원의 쌍용차 발행 어음 중에서 640억 원 규모가 이날 만기를 맞는다. 이날 결제가 이뤄지지 않은 어음은 모두 부도처리된다.
일부 협력업체들은 쌍용차가 발행해준 어음을 신한은행 등 은행들에 담보로 맡기고 자금을 대출받았다.
이들은 나중에 쌍용차가 어음을 결제해주면 대출금을 갚을 계획이었다.
그러나 쌍용차가 법정관리 신청으로 채권.채무가 동결돼 어음 대납이 이뤄지지 않자 협력업체들은 우선 대출금을 갚아야 할 처지에 놓였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쌍용차 협력 업체 가운데 대출금을 갚지 못해 연체된 업체들은 개별 업체별로 심사를 통해 일반대출 전환 여부 등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우선 대출금을 갚지 못한 협력업체들은 연체 상태에 빠지게 되지만 당장 부도에 직면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추후 협력업체에 신규 자금을 지원해주는 등의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jsking@yna.co.kr
fusionjc@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