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강건택 기자 = 어청수 경찰청장은 12일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시위대의 사법처리에 관해 "유연하게 처리할 것"이라며 강경 대응을 자제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어 청장은 이날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채증을 통한 시위대의 추가 사법처리 여부에 관한 질문이 나오자 "국민의 법 감정과 정상을 참작해 유연하게 처리하겠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달 26일 "불법 시위로 번진다면 가능한 한 현장에서 연행하고 여의치 않으면 채증 자료를 수집해 반드시 처벌하겠다"며 엄정한 법 적용 방침을 밝힌 입장에서 보름만에 달라진 것.
당초 예상과는 달리 최근 시위에 나서는 사람들이 전문적인 `시위꾼'이 아니라 대부분 평범한 시민들이라는 조사 결과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어 청장은 "연행한 사람들을 보면 다들 무직이거나 집회 및 시위 전과가 없는 사람들이었다. 그래서 나중에는 되도록 연행을 하지 말라고 했다"라고 말했다.
집회 및 시위 경험이 많은 시위대는 경찰이 해산 작전에 돌입하면 눈치빠르게 알아서 피하는 반면 경험이 없는 일반 시민들이 끝까지 앞에서 시위를 하다가 경찰에 연행된다는 게 어 청장의 판단이다.
다만 시위자 2명을 구속한 데 대해서는 "이들은 쇠파이프를 휘두르는 등 분명한 구속 사유가 있기 때문에 그렇게 사법처리한 것"이라고 말했다.
어 청장은 경찰이 최근 시위대와의 물리적 접촉을 자제하는 이유에 대해 "경찰의 기조가 바뀐 것은 아니지만 큰 충돌이 일어날지 모르는 상황에서 경찰이 밀리다 보면 자칫 다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최대한 접촉을 피하도록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10일 대규모 시위에 대비해 서울 도심에 설치한 `컨테이너 차단벽'은 어 청장이 아닌 경비 업무 책임자의 아이디어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길범 경비국장은 "서울청 경비부장과 함께 고민을 했다. 그 동안 전경버스가 40대 이상 부서져 비용만 30억원이 넘었다. 처음에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컨테이너를 쓸까 했는데 수량을 맞추기 어려워 컨테이너를 구하게 됐다"라고 말했다.
어 청장은 "2005년 부산(APEC 정상회의)에서 써봤기 때문에 경비국장이 컨테이너 아이디어를 냈을 때 장단점에 대해 이야기를 해줬다. 교통 마비가 가장 큰 단점이다"라고 부연 설명했다.
firstcircle@yna.co.kr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