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우탁 기자 = 용산사고에 대한 도의적 책임을 지고 김석기 경찰청장 내정자가 자진사퇴했지만 여야간 공방은 11일에도 계속됐다.
국회는 이날 오전 본회의를 열어 용산사고에 대한 긴급현안 질문을 벌였다. 질의에는 한나라당 이인기 신지호 장제원 김용태 이한성, 민주당 김종률 김유정 장세환 , 자유선진당 김창수, 민주노동당 이정희 의원 등이 나섰다.
민주당 의원들은 용산 사고의 발생원인을 무리한 진압작전 감행으로 규정하면서 검찰의 수사결과와 김석기 내정자의 자진사퇴도 정권의 면죄부를 주기위한 '꼬리자르기'라며 특별검사제 도입과 국정조사를 재추진하자고 공세를 취했다.
민주당측은 용산사고에서 청와대도 자유로울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하며 '청와대 연계'를 주장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종률 의원은 "이번 참사는 이명박 정권의 밀어붙이기식 무리한 강경진압이 불러온 비극"이라며 "대통령이 진심으로 국민의 편에 서서 참회하고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당 관계자는 "현재 용산사고와 관련해 청와대와 연관된 제보 등이 입수됐지만 그 내용을 현안질의에서 공개할 지 여부는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반면 한나라당 의원들은 용산사고가 안타까운 일이지만 전국철거민연합회(전철연)가 개입하면서 과격 불법투쟁이 도심 한복판에서 진행되는 상황에서 경찰의 진압작전이 불가피했음을 강조하면서 검찰 수사와 김 내정자의 사퇴로 일단락됐다고 맞섰다.
특히 제2의 용산사고를 막기 위해 재개발 사업 개선대책 등을 마련하는데 주력하자고 강조했다.
장제원 의원은 "이번 사태는 용산 지역의 순수한 철거민들의 생존권 저항이 아니라, 주범인 전철연의 치밀한 폭력농성 수법으로 선동된 잔인한 참사였다"고 주장했다.
이인기 의원도 "이번 참사는 `다 함께 죽자'는 알케에다식 자살폭탄테러와 다를 것이 없다"며 "정당하게 공권력을 집행하다 빚어진 결과에 대해 경찰에 무조건 책임을 물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여야는 이날 2월 국회의 운영과 관련해서도 첨예한 신경전을 벌였다. 한나라당은 현안 질의 이후에는 `일하는 국회'로 돌아가 주요 법안을 처리할 것을 주장했지만 민주당은 용산 사고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추궁이 미진하다며 추가 공세에 주력했다.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는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에서 민주당을 겨냥, "빨리 대화의 창을 열고 대안을 내놓아 그것을 중심으로 서로 머리를 맞대고 논의하고 타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준표 원내대표도 KBS 라디오에 출연, 용산사고와 관련해 야당의 특별검사제 실시 요구에 대해 "특검은 권력비리 수사 때나 나오는 주장"이라며 일축했다.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상임위원장과 특별위원장 연석회의에서 "도의적 책임은 김석기 청장의 몫이 아니라 대통령의 몫이며 김 청장은 법적 책임을, 원세훈 행정안전부 장관은 지휘 책임을 질 사람"이라며 특별검사 도입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민주당은 이날의 긴급현안질의와 13일부터 시작되는 대정부질문에서도 용산 참사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는 한편 다른 야당과 공조를 통해 특검제 도입을 추진할 방침이지만 한나라당은 물론 자유선진당은 반대하고 있다.
lw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