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8.6℃
  • 구름많음강릉 9.8℃
  • 맑음서울 10.0℃
  • 맑음대전 11.0℃
  • 맑음대구 10.8℃
  • 맑음울산 7.9℃
  • 맑음광주 10.1℃
  • 맑음부산 8.9℃
  • 맑음고창 5.5℃
  • 맑음제주 10.4℃
  • 맑음강화 3.0℃
  • 맑음보은 7.2℃
  • 맑음금산 8.7℃
  • 맑음강진군 7.4℃
  • 맑음경주시 5.9℃
  • 맑음거제 9.6℃
기상청 제공

[기자칼럼] 선·후배, 그리고 문화

일년 전, 한겨레신문에 “2006년 3월 체육대학은 아직도 ‘병영’”이란 기사가 실렸다. 새벽 6시 30분까지 1학년 신입생 모두가 일렬로 늘어서 선배들이 나타나면 조직폭력배를 연상시키듯 허리 굽혀 큰소리로 인사한다. 선배들이 도착하면 달리기, 오리걸음을 하면서 구호를 외치거나 체가를 부른다. 교육이 끝나도 크고 작은 체벌들에 시도때도 없이 시달린다. 이것이 체대 신입생들의 하루 일과 시작이다. 아마 그들은 고등학생 때보다 자유로운 대학생활을 기대했을 것이다. 매일 기합과 체벌에 시달리며 지쳐갔을 것이다. 그런 그들이 2007년 3월, 새학기가 시작되면서 선배가 돼 일년 전 자신들이 당했던 그대로 후배들에게 요구한다. 반복되는 것이다.

며칠 전, 모 대학의 1학년 체대 신입생들이 비오는데도 불구하고 속옷차림으로 정문 앞에서 노래를 부르는 장면이 신문기사에 실리면서 큰 충격을 주었다. 이 일로 네티즌들과 학부모들의 비난이 쏟아지자 이 교육을 시킨 선배 중 한명은 “나도 겪었던 일이다. 그땐 부끄럽고 창피했지만 시간이 흐른 뒤 추억으로 남아 있다. 후배들에게 추억을 만들어 주기 위한 행동이었다”고 해명했다.

체대 학생이 아닌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 이런 행동들은 심리적으로나 신체적으로나 폭력일 뿐이다. 그러나 체대학생들은 이 모든 것이 자기들만의 문화라고 생각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문화.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보기에 눈이 찌푸려질 정도로 과하다 싶어 “그러지 말아라”라고 강요해도 인정하지 않을 것이다. 그들 나름대로 그 문화에 자부심을 가지고 후배들에게 행하는 것이기에 그것 역시 교육이라고 여길 것이다. 그러나 체대 학생들이 생각해봤으면 하는 것이 있다. 그들이 후배였을 때, 얼마나 힘들고 수치스러웠는지. 내가 선배가 되어 그 모든 것을 후배들에게 더 심하게 행하고 있지는 않은지. 내가 당한 만큼 갚아주겠다는 마음으로 후배들을 대하고 있지는 않은지. 선배로서 후배들을 더 나은 길로 인도해줘야지라는 마음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