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3.0℃
  • 흐림강릉 3.4℃
  • 흐림서울 6.4℃
  • 대전 4.7℃
  • 대구 5.6℃
  • 울산 6.6℃
  • 광주 5.4℃
  • 부산 7.4℃
  • 흐림고창 5.0℃
  • 제주 11.2℃
  • 흐림강화 5.4℃
  • 흐림보은 4.5℃
  • 흐림금산 4.3℃
  • 흐림강진군 6.9℃
  • 흐림경주시 5.9℃
  • 흐림거제 7.3℃
기상청 제공

[기자칼럼] 광주가 그럴 수 없다면

80년 5월의 광주는 쓸쓸했다. 하지만 비겁하지는 않았다. 아니, 오히려 비겁하지 않았기 때문에 고립되었던 것이다. 국가에 의한 무자비한 고문과 살인, 납치가 횡행하던 그 시절, 권력 앞에 머리를 조아리고 불의 앞에 침묵해야 했던 어둠의 시대에 불을 밝힌 것은 다름 아닌 광주시민들이었다. 민주주의와 인권이 참혹하게 유린당하는 현실 속에서 모두가 광주를 외면한 그때, ‘폭도’라는 누명을 쓰면서까지 광주시민들은 꿋꿋하게 저항했다. 이윽고 수백 명의 무고한 시민이 계엄군에 목숨을 잃었다.

 

“광주는 그럴 수 없다”고 했다. 80년 5월의 기록이 아니다. 지난 10월 26일 문재인정부가 노태우 씨의 국가장을 결정하자 광주시청과 광주시의회가 공동으로 발표한 입장이다. 광주시는 노태우 씨 사망을 기리기 위한 조기 게양과 분향소 설치를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5.18 광주 학살의 공범인 그는 끝까지 진실한 사과를 하지 않았고, 그날의 진실을 함구한 채 눈을 감았기 때문이다. 5.18기념재단과 5월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도 노태우 씨의 국가장 결정에 유감을 표명했고, 광주에 지역구를 둔 여당 의원 7명 또한 국가장 반대를 분명히 했다. 광주 학살에 대한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학살의 책임자인 노태우 씨를 위해 국가장을 치른다면 민주주의와 정의를 말할 수 없다는 이유였다.

 

국가장에 관한 비판이 쏟아지자 행정안전부는 노태우 씨에게 역사적 과오가 있지만 직선제 대통령으로서 기여한 바와 추징금 납부에 노력한 점을 근거로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12.12 군사반란과 5.18 광주항쟁 도중에 범한 ‘역사적 과오’란 무엇인가. 2009년 광주시가 집계한 5.18 희생자는 다음과 같다. 사망자 163명, 행방불명자 166명, 부상 후유증으로 인한 사망자 101명, 부상자가 3천139명, 구속·구금 등 기타 피해자가 1천589명, 그리고 무연고 사망자 5명을 포함하면 총 ‘5천189명’이다. 아직 규명되지 못한 사고들까지 더한다면 이보다 많은 사람이 죽거나 다쳤을 것이다. ‘역사적 과오’ 다섯 글자에 욱여넣을 수 있는 희생이 아니다.

 

닷새간 치러진 노태우 씨의 장례가 바로 어제(10월 31일) 끝이 났다. 정치인부터 평범한 시민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이 그를 배웅했다. 그러나 광주와 호남은 물론 경기, 강원, 인천, 울산, 대전을 비롯한 여러 지자체가 조기 게양을 거부하거나 분향소를 설치하지 않았다. 광주가 그럴 수 없다면 ‘대한민국’도 그럴 수 없기 때문이다. 80년 5월에 이어 우리는 또다시 광주에 빚을 졌다. ‘앞서서 나가기 산 자는 따르라’는 구절이 떠오르는 날이다.





[사설] 왜 읽고 생각하고 쓰고 토론해야 하는가? 읽는다는 것은 모든 공부의 시작이다. 지식의 습득은 읽는 것에서 시작한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식 정보를 수집해 핵심 가치를 파악하고 새로운 지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것들을 창출해 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읽기다. 각 대학들이 철학, 역사, 문학, 음악, 미술 같은 인문·예술적 소양이 없으면 창의적인 인재가 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고전과 명저 읽기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교과 과정으로 끌어들여 왔다. 고전과 명저란 역사와 세월을 통해 걸러진 책들이며, 그 시대의 가장 첨예한 문제를 저자의 세계관으로 풀어낸, 삶에 대한 통찰이 담겨 있는 책이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발하는 정신의 등대 역할을 하는 것이 고전과 명저라 할 수 있다. 각 기업들도 신입사원을 뽑는 데 있어서 자신의 재능과 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에세이와 작품집을 제출하는 등의 특별 전형을 통해 면접만으로 인재를 선발하거나, 인문학책을 토대로 지원자들 간의 토론 또는 면접관과의 토론을 통해 인재를 선발하는 등 어느 때보다 인문과 예술적 소양을 중시하고 있다. 심지어 인문학과 예술을 모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