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7℃
  • 맑음강릉 1.6℃
  • 맑음서울 0.0℃
  • 맑음대전 0.5℃
  • 맑음대구 2.9℃
  • 맑음울산 3.2℃
  • 구름많음광주 1.3℃
  • 구름조금부산 5.1℃
  • 구름많음고창 -0.2℃
  • 흐림제주 5.6℃
  • 맑음강화 -1.2℃
  • 맑음보은 -0.7℃
  • 맑음금산 0.3℃
  • 구름많음강진군 2.4℃
  • 맑음경주시 3.2℃
  • 구름많음거제 4.9℃
기상청 제공

[기자칼럼] 당신은 일년에 몇권의 책을 읽습니까?

지난 23일은 ‘세계 책과 저작권의 날’이었다. 이는 1995년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유네스코)가 세계인의 독서 증진을 위해 정한 날이다. 4월 23일은 1616년 세르반테스와 셰익스피어가 동시에 사망한 날인 데서 유래한다. 현재 에스파냐·프랑스·영국·일본 등 전 세계 80여 개 국가에서 이 날을 기념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과연 책을 얼마나 읽을까?

통계청의 ‘가계수지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월평균 소비지출은 2백12만1백22원이었으며 서적 및 인쇄물에 대한 지출은 1만2백88원으로 2005년 1만5백77원보다 2.8% 줄어들었다. 이 가운데 참고서와 잡지 등을 사는데 쓰인 돈을 빼고 순수한 책에 든 돈은 7천6백31원이다. 대한출판문화협회가 산출한 지난해 우리나라 도서 한 권당 평균 가격은 1만1천5백45원으로, 이 기준에 따른다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한 달에 책을 한 권도 채 사지 않았다는 계산이 나온다. 더 충격적인 사실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의 ‘2006년 국민 도서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1년 동안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 사람이 23.7%였다는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저수준이다.

지난 23일에는 희망의 책 전달, 사랑의 책 나누기 등 세계 책의 날을 기념하는 행사가 곳곳에서 열렸으며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책을 읽는 사람이 없는데 세계 책의 날 기념행사를 여는 것은 의미가 없다. 책을 읽지 않는 사람은 행사 자체에만 관심을 가질 뿐, 제 버릇 남 못준다는 속담이 있듯이 이후에도 별다른 변화가 없을 것이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를 타개하고 책 읽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작년 12월 제정된 ‘독서문화진흥법’이 지난 5일부터 시행되자 문화관광부는 범국민적인 독서진흥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제 독서는 국가적인 지원을 받게 될 것이다. 하지만 누가 시키기 전에 ‘지혜의 샘은 서적 사이로 흐른다’는 독일 격언이 있듯이 지금부터 틈틈이 시간을 내 책을 읽는 것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