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인터넷 사용인구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중국이 나날이 확산되는 사이버 폭력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다.
인터넷 보도 통제로 악명높은 중국이지만 사생활 보호를 위한 법적 장치가 미비해 사이버 폭력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16일 보도했다.
사이버 폭력의 대표적인 사례는 '인육수색(人肉搜索)'.
말만 들어도 무시무시한 인육수색은 다수의 네티즌들이 특정인의 신상정보를 인터넷에 무차별 공개, 공격하는 행위로 '인터넷 인민재판'으로도 불린다.
인육수색의 피해자인 왕페이는 인터넷 업체 2곳 등을 상대로 명예훼손 및 사생활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그는 작년 12월 자살한 아내가 블로그에 남긴 "남편이 바람을 피웠다"는 글이 네티즌들에게 발견되면서 인육수색의 공격대상이 됐다.
왕페이의 변호사는 왕페이가 살해 위협을 받았으며 결국 회사도 그만둬야 했다고 주장했다.
미국 듀크대 중국 유학생인 왕첸위안(王千源)도 티베트 시위대와 친중국 시위대 사이에서 중재를 시도하다 인육수색의 '사냥감'이 됐다.
중국 정부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인터넷 인구는 2억5천만명이 넘는다.
홍콩대학의 앤 청 교수는 "인터넷을 이용해 (특정인에게) 사회적 불명예를 주고 집단으로 따돌리거나 개인적인 복수를 하는 것이 중국 사회에서 유행"이라고 말했다.
인육수색에 대한 비판 여론도 높아지고 있다.
중국사회과학원의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4%가 인터넷이 통제 관리되어야 한다고 답했다.
지난달 말에는 인터넷상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개인의 신상정보를 보호하지 않은 기업과 기관, 개인을 징역 3년형에 처할 수 있는 내용의 형법 개정안 초안이 마련됐다.
개정안 초안을 마련한 주즈강(朱志剛)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은 "인터넷상의 '인간 사냥'은 이미 도덕적 질책을 넘어섰으며 시민의 기본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한다"고 지적했다.
yunzhen@yna.co.kr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