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비리 가장 심각"…교사 598명 설문
(서울=연합뉴스) 이준삼 기자 = 서울지역에서 잇따라 터진 교육비리와 관련, 평교사 10명 중 7명은 `교육비리는 전국적으로 만연해있는 현상'으로 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최근 평교사 598명을 대상으로 `교육비리' 관련 설문조사를 해 11일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에서 발생한 장학사들의 `매관매직' 사건에 대해 70.8%(중복응답)가 `전국적이고 보편적인 현상'이라고 대답했다.
실제로 학교비리 유형을 제시하고 `직접 경험했거나 들어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도 `그렇다'는 응답률이 상당히 높았다.
구체적으로 보면 ▲학생성적 비리 34.1% ▲근무평정 비리 68.3% ▲보직교사 임용 학내 인사 비리 62.7% ▲수학여행 리베이트 수수 58.4% ▲비정규직 직원 채용 관련 상납요구 55.7% ▲학부모 대상 불법 찬조금 수수 57.6% ▲교과서ㆍ부교재ㆍ사설모의고사 채택료 수수 44.7% 등이었다.
전교조는 이에 대해 "비리가 학교 현장에 광범하게 퍼져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감사제도 개선, 내부 고발자 보호 장치 등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교사들 스스로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교육비리는 `장학사 시험 등 승진 관련 비리'(64.1%)였고, 그 다음이 `시설공사 및 기자재 납품 비리'(61.0%), `근무평정 관련 비리'(57.0%) 등이었다.
교육현장에 비리가 만연한 이유에 대해서는 85.2%가 `학교장 권한의 집중'을 꼽았고, `공사 및 납품 관련 업자들의 로비' 82.6%, `승진에 대한 요구' 79.1% 등이었다.
설문 참여교사들은 교육비리 척결을 위한 대책으로 `승진제도 개선'(73.4%)을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았고, `비리교원에 대한 처벌 강화'(66.8%), `공사관련 감리 강화'(58.5%) 등에 대한 응답률도 높은 수준이었다.
jsle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2010/03/11 12:08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