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센터 설립 배경과 필요성 2015년 제정된 ‘청년기본법’과 지자체별 ‘청년기본조례’는 국가와 지역이 청년 문제를 본격적으로 정책 영역에서 다루기 시작한 출발점이다. 이를 기반으로 전국적으로 청년센터 설립이 확산됐다. 청년센터는 청년 삶의 문제를 정책과 연결하고, 청년이 주체가 되는 참여 기반을 만드는 공간으로 설계되었다. 단순한 일자리 지원이나 프로그램 운영을 넘어서 지역 청년들이 함께 모이고 말하고 실천할 수 있는 거점으로서 의미가 크다. 법적으로는 청년기본법 제13조를 근거로 청년센터 설치·운영이 가능해졌으며, 지자체 조례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기능과 구조를 규정하고 있다. 청년센터는 청년정책 전달 창구인 동시에 수요 발굴의 출발점이다. 또 지역 청년의 목소리를 수렴하고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실질적인 현장 플랫폼으로 작동한다. ● 청년센터 운영 형태와 역할 일반적으로 청년센터는 광역과 기초로 나뉜다. 광역청년센터는 도·광역시 단위의 정책 기획과 통합 운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운영되며, 기초청년센터는 생활권 단위에서 청년 개개인의 일상 문제 해결과 자치 기반 활동을 지원한다. 이외에도 일부 지역에는 대학 기반 청년센터, 특화형 청년공간 등 다양한
대학 생활 중 공모전이나 과제를 준비하다 보면 회의실이나 스터디룸의 필요성을 간절히 느낀다. 우리학교 학생들이라면 도서관을 이용할 수도 있겠지만, 학교에서 먼 지역에 사는 등의 경우에는 마음편히 이용하기가 어렵다. 이에 이번 기획에서는 독자들에게 청년들을 위한 공간, 청년들에게 유용한 공간을 소개하고자 한다. -엮은이말- 달서구 청년센터 대구광역시 달서구 중흥로 3 1층에 위치한 달서구 청년센터 전경 ⓒ달서구청년센터 달서구 청년센터는 다양한 청년공간의 대관 신청과 청년들을 위한 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센터는 지난해 사업 선정이후 오는 2024년 12월까지 우리학교가 위탁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김대건(벤처창업학) 교수가 센터장을 맡고 있다. 지난 6월 개소한 달서구 청년센터는 지역 청년의 창업 사업화 지원과 인큐베이팅 및 청년의 능력개발·인재육성 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이 운영되는 공간이다. 청년 정책의 다양화에 따라 청년센터의 역할은 이전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대해 김대건 센터장은 “지역 사회와의 연계를 통해 청년들이 사회에 적극 참여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