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시간선택제일자리 관련 가이드라인 제시로 노동계 논란
시간선택제일자리는 일 8시간 혹은 주 40시간 이하로 근무하는 일자리를 말한다. 정규직 여부와는 상관없이, 노동시간을 기준으로 정의되는 일자리이다. 박근혜정부의 최우선 국정과제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 제시한 정권의 핵심적인 정책으로, 정부는 시간선택제일자리를 활성화하고, 하루 8시간 일하는 전일제 노동자와 비교해서 차별없이, 노동시간에 비례한 대우를 하겠다는 정책을 발표했다. 기획재정부는 2013년 10월, 2014년 기획재정부 산하 공공기관에서 시간선택제일자리 1만 7천명을 고용할 계획을 밝혔고, 고용노동부는 지난 2013년 11월 「시간선택제일자리 도입·운영안내서」라는 시간선택제일자리와 관련한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남녀노소 상관없이 출산과 육아, 간병, 개인의 건강과 학습 등의 이유로 일 8시간 미만 근무에 대한 노동자의 자발적인 수요는 일정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시간선택제일자리는 크게 반대할 이유가 없어 보인다. 전일제노동자를 기준으로 노동시간에 비례한 처우를 한다면 이 역시 불합리한 조치로 보이지는 않는다. 고용노동부, 기획재정부 등 관련 부처가 제도의 운영 지침을 내리고, 구체적인 고용 계획까지 발표하니, 시간선택제일자리는 일자리와
- 최재혁(참여연대·노동간사)
- 2014-04-09 1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