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gokmu.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지난 11월 29일, 의양관 운제실에서 ‘대구경북사회혁신 비전 선포식’이 열렸다. 이날 비전 선포식에서는 지역 혁신을 우리학교의 새로운 역할로 규정하고 이와 관련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아울러 이를 뒷받침할 기관인 ‘대구·경북지역혁신센터’와 ‘계명휴스타(Hustar)인재원’의 설립을 대내외에 공표했다. 이날 행사는 권영진 대구광역시장, 배지숙 대구시의회 의장, 강은희 대구시교육감 등 5백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신일희 총장은 “우리학교가 지역혁신을 위한 경제적 원동력이 되었으면 좋겠다. 우리학교의 국제적 자 원과 역량을 지역사회와 공유함으로써 지역과 더불어 발전해 나갈 것을 선포한다.”고 말했다. 윤종진 경상북도 행정부지사는 “계명대학교는 봉사와 헌신이라는 기독교 정신으로 대구・경북을 대표하는 명문사학으로 성장을 이룩하였다. 대학이 지역사회에 적극적으로 공헌할 것을 선언하고, 지역사회 혁신을 대학의 비전으로 선포하는 것은 대구・경북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매우 중요한 일이다.”고 말했다. 또한 배지숙 의장은 축사에서 “대구시민으로서, 본교 졸업생으로서 계명대학교의 비전 선포식 개최를 진심으로 축하한다. 실험적인 도전에 앞장서 온 계명대학교가 인재양
우리학교가 외국인 교수 5인에게 ‘외국인 교수 우수교육상’을 수여한다. 이 상은 창립 120주년 ‘외국인 교수와 유학생의 학기’를 맞아 그간 대학의 발전과 학생 교육을 위해 힘써온 외국인 교수의 노고를 치하하고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과 자긍심을 고취하고자 마련되었다. 수상자는 Christian Spahn(철학윤리학) 교수, James Bryan Pattison(경찰행정학) 교수, Keiko Yamada(지구환경학) 교수, Angelita Bautista Cruz(체육학) 교수, Simmyung Yook(제약학) 교수 등 5명이다. 우리학교에 3년 이상 재직 중인 외국인 전임교원 중 단과대학의 추천을 통해 교육업적과 학교발전 기여도가 뛰어난 교수를 선발했으며, 수상 교수들에게 상장과 상금 2백만 원의 포상이 주어진다. 시상식은 오늘, 12월 2일 13시 30분에 본관 제3회의실에서 진행된다. 오늘 시상식에는 신일희 총장 등 교무위원, 단과대학 및 학과별 축하인원 등 모두 6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 외국인 교수 우수교육상 수상자 수상 소감-Christian Spahn(철학윤리학) “학교에 온 지 딱 10년 된 올해에 좋은 상을 받게 되어 더욱 특별한 것 같
지난 11월 26일 실시된 제 57대 총(부)학생회장 선거에서 손현동(체육학·3) 씨와 한준형(전자무역학·3) 씨가 각각 당선됐다. 이번 선거기간 동안 후보자들의 일방적인 유세 활동은 있었지만 공약을 들을 수 있는 연설회나 토론회는 개최되지 않았다. 또한 학생들의 자유로운 의사와 민주적인 선거 절차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는 ‘2020학년도 중앙선거관리 시행세칙’이 일반 학우들에게 공개되지 않았던 점도 의문이다. 선거는 끝났지만, 선거 직전 재학생 커뮤니티 에브리타임과 비사광장을 통해 후보자들의 선거 공약에 대한 정보를 구할 수 없었다는 의견이 다수 제시되며 총학 선거의 폐쇄성에 대한 지적이 이어졌다. 김민태(경영학·3) 씨는 “공약설명회나 토론회 자리가 없어서 후보자를 제대로 판단할 기회가 부족했다.”고 토로했다. 비사광장에 A씨가 올린 ‘학생자치기구 선거의 의문점들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에 따르면 “중앙선거위원회(이하 중선관위)의 폐쇄적인 운영과 소통 부재가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생각한다.”며 “현재의 학생자치기구 선거는 유권자들이 마땅히 알아야 할 정보를 최소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서재룡(게임모바일공학・3) 총대의원회 의장 겸 중앙선거관리위원장과의
지난 11월 13일, 의양관 국제세미나실에서 법무부 산하 기관 이민정책연구원과 우리학교가 주최한 공동 학술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이번 세미나는 ‘국내 이민사회 전개와 다문화사회전문가: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시행 10주년을 기념하여 지난 10년간의 다문화사회전문가 교육과정 내용 및 운영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와 발전방향 모색을 위해 마련되었다. 정기선 이민정책연구원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조영희 이민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과 김혜순(사회학·교수) 이민다문화센터장의 발표가 이어졌으며 이후 참석자간 토론으로 세미나가 마무리되었다. 김혜순 소장은 “지난 10년간 3천6백여 명의 다문화사회전문가를 양성했지만 전국적인 관심이 더욱 절실하다.”며 “이번 학술세미나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다문화사회전문가에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갤럭시 S8, V30, 아이폰 X 등의 OLED 스마트폰과 LG와 소니 OLED TV와 같은 OLED 제품을 구입한 후 약 2~3년이 지나면 번인현상이 일어나 논란이 되고 있다. ‘번인현상’이란 장시간 동안 화면을 켜놓거나 동일한 이미지를 반복해 화면에 노출할 경우 해당 이미지가 화면에 잔상으로 남는 현상을 말한다. 이런 현상은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를 이루고 있는 픽셀이 타버리면서 나타난다. OLED 디스플레이로 화려한 색의 영상을 볼 때, 특정 색을 표현하는 픽셀은 더 자주 빛을 내게 된다. 이때 자주 빛을 내는 픽셀은 그렇지 않은 픽셀보다 더 빨리 빛을 잃으며 밝기가 줄어들어 이 변화가 잔상으로 남게 된다. OLED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놓인 유기발광재료로 구성되어있다. 양극과 음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양극에서는 정공(正孔, Positive hole)이 주입되고 음극에서는 전자가 주입되어 유기발광재료에서 정공과 전자가 재결합하여 빛이 생성된다. OLED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작하면 OLED는 화소가 되어, 화소 내에서 빛이 생성되고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화면이 표시된다. 컬러 디스플레이를 위해서는 적색, 녹색, 청색의 OLED를 배열하여 컬러
인생에는 ‘터닝 포인트’가 있다. 스승의 말 한마디가 잠재력을 깨우는 빛이 되는 결정적인 순간이 있다. 극재(克哉) 정점식(1917~2009) 선생(이하 ‘극재’로 약칭)에게도 그런 스승이 있었다. 일제강점기 해방 무렵에 만난 쓰다 세이슈(律田正周, 1907~1955)가 바로 ‘삶을 바꾼 스승’이었다. 쓰다는 일본 문화학원의 교수로 우리나라 유학생들과도 친분이 두터웠다. 이중섭, 유영국, 송혜수 등이 그의 문하생이었다. 1941년 일본의 억압을 피해 간 하얼빈에서 쓰다와의 만남은 운명적이었다. 해방이 되고 나서 극재는 쓰다와 3개월간 함께 생활한다. 그때 극재의 스케치북을 몰래본 쓰다는, “극재는 남들이 못 보는 것을 보고 있다.”며, “어쩌면 스페인적인 풍토나 문화적 배경 밑에서 나올 법한 그림”이라는 칭찬을 한다. 그것은 하얼빈의 이국적인 풍경을 그린 드로잉을 보고 한 말이었고, 그 드로잉에는 남들이 주목하지 않은 건물의 낡은 모습이나 흠집 등이 묘사되어 있었다. 쓰다는 극재가 무의식적으로 묘사한 요소들의 미적인 효과를 지적한 것이다. 이로써 극재는 자신의 그림에 나타난 자잘한 요소들을 인식하게 되고, 대상을 보는 눈이 달라진다. 이런 지적과 더불어 쓰
채식주의는 일반적으로 허용하는 음식의 유형에 따라 구분한다. 이것은 매우 애매할 뿐 아니라 채식주의의 취지를 제대로 파악하기도 어렵다. 왜 붉은 살코기만을 먹지 않는지, 왜 동물의 알은 허용하고 유제품은 안 되는지, 반대로 유제품은 허용하고 동물의 알은 왜 안 되는지 등을 우리는 분명하게 알 수 없다. 또한 음식의 허용 범위가 같더라도 그 이유와 근거는 서로 전혀 다를 수 있다. 채식의 이유가 자신의 건강, 동물권 및 환경 보호 등으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허용해야 하는 음식의 유형보다 그 이유와 취지가 더 중요하다면 그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므로 채식주의를 도덕공동체에 따라 각각 인간, 동물, 생명체 그리고 환경을 위한 채식주의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인간을 위한 채식주의 관점에서 플라톤은 「국가론」에서 채식이 자신의 이상국가에서 가장 적절한 식문화라고 주장한다. 플라톤은 채식주의에 대한 두 가지 근거, 인간의 건강에 근거한 영양학적 논증과 경제적 논증을 제시하고 있다. 대다수 채식주의자들이 채식의 이유로 들고 있는 영양학적 논증에 따르면, 육식은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높이고 혈당과 혈압을 증가시켜 심혈관 질환을
계명대신문 [42601]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아람관 105호 발행인 : 신일희 | 편집인 : 신일희 | 전화번호 : 053) 580-5731 저작권자 ⓒ gokmu.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UPDATE: 2019년 12월 02일 15시 48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