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윤영 기자 = 교육과학기술부는 24일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WCU) 육성사업의 1차 심사를 통과한 일부 사업단의 논문이 이중ㆍ중복게재됐다는 언론보도와 관련해 "전문가 회의 결과에 따라 사업탈락 여부 등을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교과부는 WCU 사업에 대한 1차 심사를 하면서 표절 등의 문제가 발견된 사례 1건에 대해서는 이미 해당 대학에 통보하고 판정을 의뢰한 바 있으며 이달 초 1차 심사 결과를 발표한 이후에도 각 대학에 연구부정 행위에 대한 검증을 해줄 것을 요청한 상태라고 말했다.
교과부는 이번에 문제가 제기된 사례에 대해서는 연구윤리 전문가, WCU 사업 관리위원회 위원 등 12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회의에서 논의한 뒤 결과에 따라 사업 탈락 여부 등을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학문윤리 위반 여부는 정부가 판단하기 보다 전문성있는 해당 학회와 교수가 소속된 대학이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현재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논문 이중ㆍ중복게재에 대한 판정 기준이 확립돼 있지 않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피상적으로 논문 제목이나 내용이 유사해 보이지만 연구자가 자신의 선행연구에 기초해 논리와 이론 등을 심화, 발전시키는 연구과정에서 나온 저작물 또는 대상을 다른 저널에 게재하는 것은 학문 분야마다 상당히 다른 특수성이 있어 중복게재로 단정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민일보는 이날 WCU 사업 1차 심사를 통과한 사업단 중 건국대, 서강대, 성균관대 등 3개 대학의 4개 팀에서 이중ㆍ중복게재된 논문을 사업 실적으로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올해 신설된 WCU 사업은 국내 대학을 세계적 수준으로 육성한다는 취지로 5년 간 총 8천250억원을 투입하는 대규모 대학 재정지원 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