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다. 봄이 오기가 서해에 침몰한 천안함 함미와 함수 인양 작업마냥 더디고 힘들다. 사람들이 너무 슬퍼하면 오던 계절도 되돌리는 것인가.
끔찍한 일이었다. 두 동강 난 천안함이 실종 수병들과 함께 바다에 가라앉아 있는 동안 우리 사회는 그대로 장례식장이 되었다. 정부는 작년부터 이어진 줄초상들에 제대로 변변히 애도하지 못했던지라 과연 이번에도 사태 추이는 아수라장이었다.
엉뚱한 ‘설’들만 난무하고 수많은 음모론이 하늘과 바다와 심지어 ‘땅굴’까지 뒤덮었다. 사건 당일 속보들은 그 ‘배’가 점점 뻥튀기 됐다가 줄었다가 세상에 없는 신화 속의 배가 돼가는 과정에 다름없었다. 사태 수습은 국민의 염원과도 거리가 멀었다.
군은 배에 탔던 사람들을 구조하는 일에 서툴렀다. 생존자를 구한 것은 해경과 민간 어선이었다. 해군은 심지어 실종 장병들을 못 구한 것인가, 안 구한 것인가 하는 의혹마저 낳게 했다. 분단 상황과 관련된 추측들이 초기부터 날개를 달았고, 분단국가의 비상사태는 사람이 최우선이 아님을 깨닫게 했다.
‘69시간 생존론’은 또 얼마나 허무맹랑한 것이었나. 천안함은 우리의 기대와 달리 최첨단 장비는커녕 노후화가 심했다. 침몰 직후 즉사했을 게 뻔한 실종장병들을 두고 온 언론이 ‘69시간’이라는 헐리웃 첩보영화 같은 액션활극을 찍은 셈이다.
유가족들과 국민들이 피 말리며 뉴스와 시계만을 바라보게 만들면서, 그 사이 애꿎은 추가 희생자들의 줄초상이 이어졌다. 그런데 고 한주호 준위는 영웅으로 추모하면서, 이웃의 슬픔을 도우려던 저인망선 98금양호의 침몰은 미디어에서 철저히 외면했다.
대한민국 해군을 구하려고 인도네시아에서 온 청년 두 명을 포함한 아홉 명의 선원이 죽었으나 그들은 ‘숭고한 희생’에 들지 못했다. 인도네시아 선원 람방 누르카효와 실종된 유수프 하에파의 이름을 대한민국은 기억해야 한다. 그래야 진정한 애도다.
유사 이래 인간에게 애도(哀悼)는 생존의 문제였다. 인간의 유전자는 이 ‘슬픔’이 진짜인지 가짜인지를 판별하는 데 아주 민감하게 진화해 왔다.
왜 정부가 주도하는 이 추모의 소용돌이는 순수해 보이지 않는가. 이 슬픔을 이용해 뭔가 짐스런 일들을 처리하려는 ‘실용’이나 선거를 의식한 얄팍한 잔꾀는 왜 이리 많은가.
군인들의 죽음에 KBS ‘성금 모금방송’을 3주째 편성함으로써 대한민국 해군을 ‘불우이웃’으로 만들고, 함수를 어렵게 건져내자마자 ‘천안함 다시 만든다’며 무슨 불탄 숭례문 취급하는 행위가 어떻게 애도일 수 있는가.
꽃 같은 젊은이들이 너무 많이 죽었다. 그들을 구하려고 또 수많은 사람이 죽어갔다.
되살려 낼 수 없으면, 조용히 슬픔에 집중하자. 그렇지 않으면 하늘도 바다도 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