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미디어평론] 전원드라마 <산 넘어 남촌에는>의 딜레마


KBS <산 넘어 남촌에는>은 현재 지상파 중 유일하게 농촌을 배경으로 한 드라마다. 다만 포맷에서부터 ’전원드라마’를 표방했다. 처음부터 한국 농촌 드라마의 전범인 <전원일기>, <대추나무 사랑 걸렸네> 식의 설정을 따르지 않았다. 도시와 유리된 독립적이고 자생적인 세계가 아니고, 도시와 깊은 연관성을 갖는 등장인물이 등장한다. 처음부터 그 마을에 뿌리박고 산 사람들이 아니라 저마다의 사연을 안고 ‘어쩌다 보니’ 공동체가 된 이들의 이야기다. 배경 또한 농촌이지만 벼농사가 아니라 과수원이라는 점에서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 아니다.

타지에서 모여들었지만 서로 이웃이 되어 살아가는 사람들이라는 점에서도 여느 도시 이웃들과 비슷하다. <전원일기>의 김회장 댁처럼 마을 전체의 ‘어른’ 대접 받는 집안도 없다. 이제 실제의 농촌은 이슈를 다루는 다큐멘터리에서나 볼 법하다. <전원일기>가 농촌에 대한 한국인의 향수를 재생산했다면, 이 드라마는 처음부터 입장을 달리했다. 아예 환상 자체를 설정의 근간으로 삼았다. ‘우리는 과거에 이렇게 살았다’가 아니고, ‘농촌이 이렇다면 나도 가서 살고 싶을 텐데’에 기반을 둔 것이다. 귀농한 나진석(이진우 분)네가 중심에 놓이는 구도 자체가 ‘농촌도 살 만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극 중 웬만한 인물들은 다 ‘반농반샐러리’ 형태로 살아간다. 농사만으로는 수입이 부족할 것이라는 시청자의 불안감을 덜어주는 완충장치다.

‘전원’이라는 개념부터가 사실 우리나라 농촌이 아니고, 서구 문물 유입의 결과다. 분재처럼 인공 적이고 인위적인 개념이다. 도시인들이 꿈에 그리는 ‘휴양지’에 가깝다. <산 넘어 남촌에는>은 그런 식의 ‘전원’ 개념에는 잘 맞아 떨어졌다. 그래서 21세기에도 가능한 농촌 드라마의 틀을 만드는 데는 성공했다. 어차피 현실에 존재할 법한 마을이 아니며, ‘전원’에 대해 도시 시청자가 기대하는 상상과 부합하면 된다.

그러나 이 드라마는 포맷 자체가 딜레마다. 향수에도 현실에도 기울어지지 않는다. 때로는 기존 농촌드라마보다도 훨씬 현실 문제를 많이 다루려 하지만 그럴수록 관점은 도덕 교과서를 벗어나지 못한다. 순호와 하이옌 부부만 해도 리얼리티로 따지자면 <러브 인 아시아>만도 못하다. 지나치게 현실감을 부여해도 윤리와 도덕을 강조해도 극은 기우뚱한다.

<산 너머 남촌에는>은, 이제는 농촌에 살거나 농촌에 전혀 기반을 두지 않으면서도 농촌적인 정서를 가끔 맛보고 싶어 하는, 시청자들을 위한 ‘판타지’ 드라마다. 김동환의 시와 박재란의 노래 ‘산 너머 남촌에는’을 접하며 자란 세대를 위한 작품이다. 이 드라마는 농촌에 대한 ‘이데아’를 표현하고 있기에 사실 여기 나오는 사랑(남녀, 가족)도 사랑의 이데아인 순애보에 가깝다.

따라서 시청률에 크게 연연하기 보다는 애초의 의도를 잘 살리고 있는가에 더 주안점을 두었으면 한다. 어차피 ‘전원’ 자체가 환상이고, 이 드라마의 마을 또한 환상이며, “나도 농사나 지을까?”하는 도시인의 푸념 자체가 환상인 것을!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