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중간고사의 여운이 감돈다. 열람실은 여전히 학생들의 책 넘기는 소리로 분주하다. 하지만 나에게 중간고사는 ‘못해도 B’ 라는 말로 각인되어 있다. ‘못해도 B’란 바로 교직과목에 주어지는 성적을 보고 하는 말이다. 실제로 교직을 이수한 많은 학생이 이 말을 들어보았을 것이라 생각한다.‘못해도 B’라니... 다른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부러울지도 모른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이유를 들어본다면 ‘못해도 B’라는 말이 반가운 소식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교직을 이수하려면 교직과정 설치 학과 정원의 10% 안에 들어야 한다. 즉, 1학년 때 다른 학생보다 더 학점에 신경을 쓰고 관심을 가져야 교직을 이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런 학생들로 구성된 수업에서 학점을 잘 받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결국 성적분포를 다른 일반교양과 다르게 하는 것은 표면적인 것일 뿐 실제로 교직수업에서 ‘B+’를 받으려면 다른 수업에서보다 더 열심히 노력해야한다.하지만 나를 더욱 가슴 아프게 하는 것은 치열하게 대학생활을 해서 교직을 이수하고도 임용을 치지 않고 취업을 하려고 하면 교직이수가 오히려 짐이 된다는 사실이다. 왜냐하면 면접에서 ‘지원자는 임용을 통과해서 교사를
지난 2년이 눈 깜빡할 사이에 지나갔다. 내가 과속을 했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휴학 한번 없이 열심히 달려왔기 때문에 나의 대학생활에 후회는 없다.돌이켜보면 대학생활만큼은 과속이 필요하다. 하지만 조심스럽지 않은 과속은 화를 부른다. 속력을 내기 위해서는 목표를 정하고 짜임새 있게 준비해 최대의 속력을 낼 수 있도록 길을 닦아야 한다. 준비된 자만이 기회를 잡듯 남들 보다 빠른 준비가 험난한 취업난을 돌파할 수 있는 것이다.그래서 나는 신입생들이 학교에서 하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길 권장한다. 나는 지금 우리학교 학생상담센터에서 시행하는 KCMP에서 멘토로 활동하고 있다. 그런데 처음 학교 홈페이지에 멘토 모집 공고가 올라 왔을 때 재학생들은 벌 떼 같이 모여들었는데 그에 비해 신입생의 지원자수가 적어 멘토와 멘티의 관계를 맺을 수 없을 뻔 했다. 안타까웠다. 나는 선배들의 도움을 받기 힘들다면 힘들 수 있는 자율전공부 소속이었다. 때문에 온갖 시행착오를 겪어가며 교내활동, 시설, 대학생활 등을 알아가야 했다. 하지만 지금의 신입생들은 학생상담센터의 멘토링 프로그램, 교수학습지원센터의 튜터링 프로그램 등을 적극 활용한다면 남들보다 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