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6.9℃
  • 맑음강릉 7.1℃
  • 맑음서울 7.8℃
  • 맑음대전 5.8℃
  • 맑음대구 7.6℃
  • 구름조금울산 8.4℃
  • 맑음광주 10.1℃
  • 맑음부산 10.4℃
  • 맑음고창 6.9℃
  • 맑음제주 10.9℃
  • 구름많음강화 5.9℃
  • 맑음보은 4.4℃
  • 맑음금산 3.7℃
  • -강진군 7.7℃
  • 구름많음경주시 6.2℃
  • 맑음거제 6.7℃
기상청 제공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창조적 혁신을 위한 ‘디지털 시대의 마법사들’ 톺아보기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의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초융합, 초연결, 초지능의 혁명으로서 비록 코로나19로 인해 경제 성장이나 산업 발전 등이 팬데믹 속에 묻히고 있지만 4차 산업혁명이란 혁신적인 과학기술이 인류에게 커다란 변화와 새로운 성장을 이루어낼 동인임을 부인할 수 없다. 말 그대로 디지털을 매개로 한 플랫폼이 삶의 기반을 송두리째 흔들고 경제성장을 가속화할 수 있는 디지털 지능 플랫폼 사회로의 전환을 촉진시키고 있다. 이처럼 새로운 경제 질서와 삶의 표준을 재정의하는 뉴노멀 시대의 디지털 플랫폼은 다양한 콘텐츠와 지식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며 팬데믹의 영향으로 일상에 지친 사람들에게 원활한 소통을 지원하며 사회적 관계를 회복하고 있다.

 

MIT미디어 랩의 미션은 보통 사람도 정말로 대단한 일을 이루어 낼 수 있게 하고, 그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삶의 요소들, 즉 건강과 부, 행복도 자기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그들의 능력을 발전시키는 것으로서 우리들이 상상할 수 없었던 것들, 설마 가능할까? 하고 불가능하게 여겼던 것들을 가능하게 만들었던 원천이 무한한 창조적인 사고, 개인의 변화를 중요시하고, 기술에 휴머니즘을 입히는 일련의 혁신적인 사고에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인간의 5감 즉 시각, 청각, 촉각, 후각과 미각까지 디지털화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디지털이 아날로그가 갖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시작되면서 그 결과로 아날로그 시절에 겪었던 많은 불편이 해소되어 삶의 편의에는 도움을 주었어도 감성에는 아무 관계가 없을 것 같기도 하지만 “기술이 우리의 인간성을 몰살하기 전에 우리는 기술에 인간성을 입혀야 한다.”는 ‘올리버 색스’ 신경의학자의 말을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파괴적인 혁신’이 필요한 대학에서도 복잡하고 다양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려면 산업과 기술, 학문이 융합되는 초융합 시대에 맞춰 보다 다양한, 이종 학문과의 융합을 추구하려는 유연성이 필요하다.

 

‘디지털 시대의 마법사들’에서는 혁신을 향한 미디어랩의 특색과 개발 중인 기술이 미래의 삶을 어떻게 바꿔 놓을 것인지를 잘 설명하고 있다. 인간의 지능을 넘어서는 인공지능이 개발되는 초지능 시대를 맞이해 인간 고유의 특성인 창의성 및 감성, 인성을 길러주는 새로운 혁신이 필요한 시기에 우리학교 학생들에게 ‘혁신’이라는 단어를 어떻게 이루어 낼 것인가에 대해 제대로 설명할 수 있는 좋은 책이라 생각한다.





[사설] 지방대학 고사 막기 위한 정치권의 정책적 용단 필요 유난히도 올여름은 무더웠고 비도 많이 내렸다. 어느 한순간,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의 아름다운 계절이 되었다. 하늘 푸르고 높은 이 시간에 대학은 푸르고 높은 하늘만을 ‘멍’ 때리며 바라 볼 수 없다. 수시 입시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수시가 시작되면 전국의 대학들은 숨을 죽이고 지켜본다. 2024학년도 수시 입시의 지원 결과 서울과 수도권 대학의 입시경쟁률은 상승했고, 지방대학들의 경우는 하락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찌 보면 예상했던 당연한 결과이지만 대부분의 신입생을 수시라는 입시제도를 통해 뽑고 있는 지방대학들에는 치명적이다. 지방대학이 고사 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어렵다. 지방대학의 고사는 지방 인구의 감소와 지역소멸이라는 절대적인 위기의식을 불러오고, 향후 커다란 국가 전체 위기로 발전할 수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소멸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방안을 허겁지겁 제시하고 있지만 이미 임계점을 넘은 우리 국민의 지방 탈출, 즉 ‘지방 엑소더스’의 거대한 파고를 막을 수는 없어 보인다. 문제의 핵심은 왜 서울을 선호하는가? 이다. 서울이 경제, 문화 및 교육의 중심지라는 생각과 출세가 가능한 곳이라는 현실과 믿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