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4.0℃
  • 맑음강릉 8.6℃
  • 맑음서울 4.9℃
  • 구름조금대전 6.5℃
  • 박무대구 8.4℃
  • 연무울산 9.3℃
  • 박무광주 8.7℃
  • 연무부산 10.8℃
  • 맑음고창 7.8℃
  • 구름조금제주 11.9℃
  • 맑음강화 5.1℃
  • 맑음보은 6.6℃
  • 맑음금산 6.7℃
  • -강진군 9.4℃
  • 맑음경주시 9.1℃
  • 맑음거제 10.7℃
기상청 제공

[교수님추천해주세요] 한강의 기적 (Miracle on the Han River), 다시 새겨보는 '이봐, 해봤어?' 도전정신

 

지난 60년간 한국의 경제사는 ‘한강의 기적’이라고 평가받으며 전 세계 역사상 전무후무한 비약적인 경제발전을 보였고, 그 중심에 항상 ‘현대그룹 정주영 회장’이 거론된다.

 

하지만, 급격한 경제성장 이후의 성장통인지 최근 한 취업 관련 커뮤니티 조사에서 청년 구직자 중 64.2%가 취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고 자살 충동을 경험한 경우까지 있다고 답한 기사를 본적 있다. ‘취업’이라는 드높은 장벽을 넘기 위해 무한 경쟁사회 속 취업난에 시달리는 청년들에게 꼭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를 시작하려 한다.

 

현대그룹 정주영 회장 하면 항상 최초라는 타이틀을 지닌다. ‘경부고속도로 건설’, ‘초대형 유조선 최초 개발’, ‘최초의 국산차 포니개발’ 등이 바로 이것이다. 이들 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예외 없이 공통적으로 당면했던 상황은 그것들이 ‘무모한 미친 짓’이라고 매도당하며 사회 각계로부터 엄청난 비난과 반대를 받았다는 점이다.

 

책에 소개된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서산 간척지 사업’이다. 간척지 사업은 방조제를 쌓아 바닷물을 가두고 그 바닷물을 빼서 육지로 만드는 것이다. 착공 5년째 되던 1984년 최종 물막이 공사는 도저히 풀기 어려운 문제에 봉착했다. 방조제의 길이 중 남은 270m를 급류로 인해 더 이상 쌓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집채만 한 바위를 넣어도, 덤프트럭들이 끊임없이 돌을 날라도 거센 물살은 이 모든 것을 휩쓸어 가버렸다. 산업계 및 학계에 수소문해 보아도 도저히 방법이 없다고 하였다. 모두가 포기했을 때, 보통학교만 졸업한 정주영 회장은 번뜩이는 아이디어로 건축학 어디에도 없는 ‘유조선 공법’을 도입하였다. 폐유조선을 바다 한가운데에 가라앉힌 후 급류를 막아 간척사업을 끝내 해낸 것이다.

 

우리 민족은 불굴의 도전정신과 창조와 혁신의 DNA를 가지고 있다고, 정주영 회장은 늘 강조하였다. 전쟁터와 같은 취업난 속 우리 청년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북돋아 줄 멘토가 필요하다면 필자는 이 책을 강력하게 추천한다. “길이 안 보이고 막막한가?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다시 봐라. 안 보이던 길이 보일 것이다.” 그가 평생 실천한 이러한 도전정신은 지금 이 시기 청년들에게 가장 필요한 응원의 한마디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사설] 지방대학 고사 막기 위한 정치권의 정책적 용단 필요 유난히도 올여름은 무더웠고 비도 많이 내렸다. 어느 한순간,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의 아름다운 계절이 되었다. 하늘 푸르고 높은 이 시간에 대학은 푸르고 높은 하늘만을 ‘멍’ 때리며 바라 볼 수 없다. 수시 입시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수시가 시작되면 전국의 대학들은 숨을 죽이고 지켜본다. 2024학년도 수시 입시의 지원 결과 서울과 수도권 대학의 입시경쟁률은 상승했고, 지방대학들의 경우는 하락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찌 보면 예상했던 당연한 결과이지만 대부분의 신입생을 수시라는 입시제도를 통해 뽑고 있는 지방대학들에는 치명적이다. 지방대학이 고사 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어렵다. 지방대학의 고사는 지방 인구의 감소와 지역소멸이라는 절대적인 위기의식을 불러오고, 향후 커다란 국가 전체 위기로 발전할 수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소멸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방안을 허겁지겁 제시하고 있지만 이미 임계점을 넘은 우리 국민의 지방 탈출, 즉 ‘지방 엑소더스’의 거대한 파고를 막을 수는 없어 보인다. 문제의 핵심은 왜 서울을 선호하는가? 이다. 서울이 경제, 문화 및 교육의 중심지라는 생각과 출세가 가능한 곳이라는 현실과 믿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