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자칼럼] '80만명의 약속' 지켜질까?

2011년 대구에서 열릴 세계육상선수권대회는(이하 세계육상대회)는 올림픽, 월드컵과 함께 세계 3대 스포츠 이벤트 중 하나로 꼽힌다. 총 46개의 종목에 3천여 명의 선수가 참가해 8월 27일부터 9월 4일까지 9일간 열리며 선수와 임원, 취재진 등 7천여 명이 찾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 인해 6천8백 명 이상의 고용창출효과와 5천8백40억 원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대구·경북연구원은 밝혔다.

하지만 우리는 2003년 유니버시아드대회가 외형적인 개최 성공에도 불구하고 스포츠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을 끌기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했던 점을 상기해야 한다. 2005년 헬싱키(핀란드)세계육상대회의 경우 1백91개국이 참가해 입장권의 가격은 최고 36만원이나 됐지만 매일 4~5만여 명이 스타디움을 메웠다. 2011 세계육상대회의 메인 스타디움으로 쓰일 대구월드컵경기장은 6만6천여석의 규모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크다. 문제는 이 규모의 관중석을 다 채우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2003년 대구유니버시아드대회를 비롯해 2005년, 2006년 두 차례 국제육상대회를 열었지만 관중석의 절반도 채우지 못했다. 그나마도 체험학습과 봉사활동 점수를 받기 위해 단체 관람한 중·고교생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많은 홍보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냉소적 태도는 여전하다.

대구세계육상대회 유치위원회에서 시민들의 유치열기를 모으기 위해 80만 명으로부터 참관확인서명을 받은 바 있다. 서명한 인원이 실제 경기 관람인원으로 고스란히 연결될지는 미지수다. 참관확인서명부가 제 몫을 해낼 때까진 4년이란 시간이 남아 있다. 육상의 불모지인 대구에서 열리는 만큼 남은 기간 동안 국내의 육상 꿈나무 발굴과 기초 종목의 육성만이 시민들의 무관심과 몰이해를 극복할 수 있다.

스포츠선진국의 대열에 진입하는 것은 대회의 유치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관심과 응원이 수반되어야 한다. 2011 세계육상대회가 육상의 저변을 확대하고 초라하기 짝이 없는 한국 육상에 햇볕을 밝혀주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