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3.2℃
  • 구름많음강릉 -0.9℃
  • 맑음서울 -1.3℃
  • 맑음대전 -1.8℃
  • 구름조금대구 2.2℃
  • 흐림울산 2.4℃
  • 구름조금광주 -0.4℃
  • 맑음부산 2.6℃
  • 구름많음고창 -4.2℃
  • 구름많음제주 4.2℃
  • 맑음강화 -4.3℃
  • 구름많음보은 -1.2℃
  • 맑음금산 -2.8℃
  • 맑음강진군 -1.4℃
  • 흐림경주시 -0.1℃
  • 맑음거제 1.3℃
기상청 제공

영어 열풍 유감

시간은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무대는 시드니의 달링 하버. 식전 행사로 배들이 퍼레이드를 벌이는 퍼몬트 다리 위도 관광객들로 발 디딜 틈이 없다. 화려한 식전 행사가 끝나고 마침내 기념식이 시작된다. 총리의 연설, 이 날의 유래 설명에 이어 세계 각국에서 호주로 이민 와 성공한 가족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다문화 시대에 어떻게 서로 배려하고 존중하며 어울려 사는지에 대한 좋은 사례인데 내용을 알아들을 수 없다. 영어 실력이 모자라서? 그보다는 다른 이유가 더 크다. 바로 뒤, 어깨를 맞닿다시피 한 두 그룹의 수다 때문이다.

왼쪽은 중국, 오른쪽은 한국 젊은이들이다. 어학연수의 천국이라는 호주에 영어를 공부하러 온 학생들이다. 다 들을 수밖에 없었던 한국 학생들의 대화 내용은 “O반에 있는 XX는 누구누구와 사귀고....” “00이는 몇 년을 어디에 있었는데 조금만 더 버티면 영주권을...” 표정으로 보아 중국 젊은이들의 대화도 크게 다르지 않을 듯하다. 분위기와 문맥에 어울리지 않는 이들의 낄낄댐은 폭죽이 터질 때야 비로소 멈춘다.

역시 어학연수 관련 일로 출장 나온 나는 비감한 느낌이 든다. 이 나라의 기원과 역사를 이해하고, 다문화 정책이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눈앞에 있는데, 좀처럼 접하기 어려운 격조 높은 영어 연설을 들을 기회가 지나가는데, 왜 남의 나라 국경일 행사까지 나와서는 현지인들의 눈총도 아랑곳 하지 않은 채 떠들어대는 내용이 국내에서 떡볶이 사먹으며 하는 이야기와 조금도 다름이 없는지.

얘들아, 너희들은 도대체 왜 여기 온거야?
호텔로 돌아오는 길거리. 중심가에 차이나타운이 있고, 그 주위로 한국인 노래방, 소주방들 역시 즐비하다. ‘이래서는 안 된다, 이렇게 외국에까지 나와서도 우물 안의 개구리로 놀아서는 안 된다, 영어보다 더 중요한 것, 그것은 상대를 이해하려는 자세, 상대의 말을 더 잘 들으려는 노력이다’라고 속으로 되뇌이면서 귀국하고 보니 이게 웬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영어교육 문제를 건드려 놓았구나, 그것도 제대로 말이다.

대통령님, 영어가 문제가 아닙니다. 문제는 먼저 인간을 제대로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사설] 왜 읽고 생각하고 쓰고 토론해야 하는가? 읽는다는 것은 모든 공부의 시작이다. 지식의 습득은 읽는 것에서 시작한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식 정보를 수집해 핵심 가치를 파악하고 새로운 지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것들을 창출해 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읽기다. 각 대학들이 철학, 역사, 문학, 음악, 미술 같은 인문·예술적 소양이 없으면 창의적인 인재가 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고전과 명저 읽기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교과 과정으로 끌어들여 왔다. 고전과 명저란 역사와 세월을 통해 걸러진 책들이며, 그 시대의 가장 첨예한 문제를 저자의 세계관으로 풀어낸, 삶에 대한 통찰이 담겨 있는 책이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발하는 정신의 등대 역할을 하는 것이 고전과 명저라 할 수 있다. 각 기업들도 신입사원을 뽑는 데 있어서 자신의 재능과 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에세이와 작품집을 제출하는 등의 특별 전형을 통해 면접만으로 인재를 선발하거나, 인문학책을 토대로 지원자들 간의 토론 또는 면접관과의 토론을 통해 인재를 선발하는 등 어느 때보다 인문과 예술적 소양을 중시하고 있다. 심지어 인문학과 예술을 모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