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4.0℃
  • 맑음강릉 2.5℃
  • 맑음서울 -1.4℃
  • 맑음대전 -0.4℃
  • 맑음대구 4.1℃
  • 맑음울산 4.1℃
  • 흐림광주 2.5℃
  • 맑음부산 6.6℃
  • 흐림고창 1.9℃
  • 흐림제주 6.6℃
  • 맑음강화 -3.3℃
  • 맑음보은 -0.6℃
  • 맑음금산 -0.4℃
  • 흐림강진군 3.5℃
  • 맑음경주시 3.8℃
  • 맑음거제 5.5℃
기상청 제공

김대중 前대통령 20일 정오 입관식

전직 대통령 중 첫 국장


(서울=연합뉴스) 송진원 기자 =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입관식이 20일 정오 천주교 의식으로 열린다고 김 전 대통령 측근 최경환 비서관이 19일 밝혔다.

최 비서관에 따르면 입관식은 언론에 공개하지 않고 유족만 참석한 채 열리며, 서교동 성당의 윤일선 주임신부가 의식을 주관할 예정이다.

최 비서관은 "김 전 대통령의 수의는 이희호 여사가 생전에 두 분 것을 준비해 둔 것을 쓸 예정이고, 대통령 상징 문양인 봉황 무늬가 새겨진 목관에 안치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입관식이 끝나면 김 전 대통령의 시신이 안치된 관은 운구 절차에 따라 국회 빈소로 옮겨진다.

국회 앞 빈소는 내일 오전까지 분향소 설치 등 준비과정을 마친 뒤 오후부터 공식 운영되며, 빈소 옆에는 최대 300명 규모의 프레스센터도 마련될 예정이다.

sa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2009/08/19 21:33 송고
전직 대통령 첫 국장 거행 배경
"대통령 결단에 논란 정리"

(서울=연합뉴스) 강영두 기자 = 정부가 19일 관례를 깨고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례를 최고 예우인 국장(國葬)으로 엄수하기로 결정했다.

이 같은 결정에는 지난 50년간 한국 정치의 거목으로서 그가 이룩한 업적과 성과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행동하는 양심'으로 한평생 민주주의와 민족화해협력, 인권에 헌신한 김 전 대통령의 영면에 대한 국민적 애도 분위기를 담기에 국민장(國民葬)이라는 형식은 너무 작은 '그릇'이라는 지적을 감안한 조치로 볼 수 있다.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국무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유가족의 뜻을 존중하고 고인의 생전 업적을 기리며 이를 통한 사회통합의 대승적 의의를 위해서 국장을 추진키로 의결했다"고 설명했다.

정치권도 역사의 뒤안길로 들어선 '정치 거목'의 국장 결정을 "합당한 결정"(한나라당), "당연한 결정"(민주당), "(마땅한) 도리"(민주노동당)라며 이견없이 수용했다.
정부는 애초 관례와 형평성에 따라 김 전 대통령의 장례를 국민장으로 거행할 방침이었다.

특히 청와대와 정부는 이날 저녁 8시 임시 국무회의가 열리기 직전까지도 국장 여부를 놓고 논란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정길 대통령실장과 맹형규 정무수석, 이동관 대변인 등 수석 비서관들도 수차례 숙의를 거듭하는 등 진통을 겪었다.

원칙과 관례, 차후 전직 대통령 장례에 미칠 파장을 고려해 국민장으로 가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았으나 호남의 민심과 향후 대야관계, 원활한 국정운영 등을 감안해 국장을 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논란과 진통은 이명박 대통령이 '대승적 차원'에서 국장을 엄수키로 결단을 내리면서 신속하게 정리됐다는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여러 부정적인 의견도 있었고 (국민장으로) 그대로 가야한다는 말도 많았지만 이 대통령이 결단을 하면서 일거에 정리됐다"고 말했다.

k0279@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2009/08/20 00:00 송고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