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8℃
  • 구름많음강릉 0.4℃
  • 맑음서울 -1.2℃
  • 구름많음대전 0.2℃
  • 구름많음대구 3.7℃
  • 구름조금울산 3.6℃
  • 맑음광주 2.4℃
  • 구름많음부산 3.9℃
  • 구름조금고창 1.2℃
  • 구름많음제주 6.9℃
  • 맑음강화 -2.2℃
  • 구름많음보은 0.6℃
  • 구름많음금산 0.5℃
  • 구름많음강진군 3.0℃
  • 구름많음경주시 2.2℃
  • 구름조금거제 3.3℃
기상청 제공

[미디어평론] ‘신사임당 선정’ 논란으로 본 여성계의 딜레마

비전 제시할 ‘현대적 여성상’ 부재가 더 문제


신사임당이 대한민국을 시끄럽게 하고 있다. 아니 대한민국 ‘여성계’에 분란을 일으키고 있다. 그가 5만원권 화폐 인물로 선정되자 문화미래 이프는 시대착오라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신사임당은 “가부장적 사회가 만들어낸 현모양처형 여성상의 전형”이라는 주장도 들려온다. 한 마디로 “자기가 역경을 딛고 일어나 자기의 재능을 발전시켜 사회에 공헌한 바람직한 여성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런 인물로 이프가 꼽는 이는 유관순이다.

그러나 안타까운 점은 그토록 지지하는 유관순과 그토록 반대하는 신사임당에 대한 논리 자체가 몹시 허술하다는 것이다. 물론 유관순은 위대하다. 하지만 그는 어린 나이에 옥사했다. 그렇게 십대에 산화한 열사들 중 남성을 찾으라면 일일이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다는 게 역사의 진실이다. 숱한 전쟁터에서 숨져간 무명의 학도병들의 숫자를 생각하면 유관순은 남성 일색의 국가유공자 명단에서 색다른 존재이기 때문에 부각된 것일지도 모른다. 유관순을 현대 여성상의 전형으로 꼽기에는 석연치 않은 점이 많다. ‘순교’에 가까운 그의 애국심 또한 안타깝지만 전근대적이다.

게다가 남성 가부장제 사회에서 만들어진 위인이라는 지적에서 유관순 또한 자유롭지 못하다. 먼저 만세운동에 뛰어든 아버지와 집안 어른들을 따른 그야말로 ‘삼종지도’의 첫 번째 관문에서 죽음을 맞았기 때문이다. 이런 풀이대로 신사임당을 말하자면, 아버지 신씨의 뜻을 따라 학문과 예술에 힘쓰다가 아들을 훌륭히 키워낸 여성이다. 그 자신이 재능 있는 화가요 문인이었다. 심지어 놀랍게도 남편의 뜻에 자신을 맞추지 않고 당대의 여인들과 달리 친정 부모를 모셨다. 조선 최고의 지성 율곡을 남편 이원수의 아들이 아닌 신사임당의 아들로 역사에 각인시켰다.

이프의 주장대로 ‘사회에 이바지 한 바’가 뚜렷한 장영실과의 경합 끝에 신사임당이 결정됐음에도 양성평등에 어긋난다는 주장이 나온 것은 현 단계 여성운동의 딜레마를 대변한다. 단지 여성이라는 이유로 ‘환영’하던 시대는 지났다. 바람직한 변화다. 그러나 아직 비전을 제시할 여성 모델은 찾아내지 못했다. 여성계 스스로가 ‘현대 여성상’ 창조에 실패했다는 자인이다. 여성부 신설 이후에도 모델을 찾아내고 재평가하지 못했다는 증거다.

여성부는 심지어 문패조차 ‘여성가족부’로 변경했다. 대한민국에서 여성은 곧 가족이다. 여성운동의 역사와 배치되는 이율배반의 등식을 받아들이면서 출산장려라는 국가시책에 앞장서는 정부부서가 된 지 오래다.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 마련에 부심하고, 여성의 힘으로 화목한 가정을 유지하라고 장려하는 조직이 대한민국 여성부다. 장관이 직접 시상하는 ‘양성평등상’ 대상에 수년 간 가부장제를 뼛속까지 옹호하는 TV 일일드라마 <노란 손수건>, <굳세어라 금순아> 등을 선정했던 것이 여성가족부의 연례 행사였다. 심각한 자기모순이다.

오백년 전 홀로 깨우치고 평생 자의식과 자존심을 꼿꼿이 지켰던 선각자 신사임당을 논하기에는 후손들의 내공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부끄러움이 앞선다.

관련기사





[사설] 왜 읽고 생각하고 쓰고 토론해야 하는가? 읽는다는 것은 모든 공부의 시작이다. 지식의 습득은 읽는 것에서 시작한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식 정보를 수집해 핵심 가치를 파악하고 새로운 지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것들을 창출해 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읽기다. 각 대학들이 철학, 역사, 문학, 음악, 미술 같은 인문·예술적 소양이 없으면 창의적인 인재가 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고전과 명저 읽기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교과 과정으로 끌어들여 왔다. 고전과 명저란 역사와 세월을 통해 걸러진 책들이며, 그 시대의 가장 첨예한 문제를 저자의 세계관으로 풀어낸, 삶에 대한 통찰이 담겨 있는 책이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발하는 정신의 등대 역할을 하는 것이 고전과 명저라 할 수 있다. 각 기업들도 신입사원을 뽑는 데 있어서 자신의 재능과 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에세이와 작품집을 제출하는 등의 특별 전형을 통해 면접만으로 인재를 선발하거나, 인문학책을 토대로 지원자들 간의 토론 또는 면접관과의 토론을 통해 인재를 선발하는 등 어느 때보다 인문과 예술적 소양을 중시하고 있다. 심지어 인문학과 예술을 모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