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5.9℃
  • 맑음강릉 10.9℃
  • 흐림서울 7.1℃
  • 흐림대전 8.1℃
  • 흐림대구 10.0℃
  • 구름많음울산 10.8℃
  • 흐림광주 11.2℃
  • 흐림부산 10.6℃
  • 흐림고창 9.4℃
  • 맑음제주 13.1℃
  • 흐림강화 5.6℃
  • 구름많음보은 8.5℃
  • 흐림금산 8.1℃
  • 흐림강진군 11.2℃
  • 흐림경주시 11.1℃
  • 구름많음거제 9.8℃
기상청 제공

[타불라 라사 115 (계명교양총서 115선)] '문명의 충돌'

새뮤얼 헌팅턴(Samuel P. Huntington)은 냉전의 종식 직후 프랜시스 후쿠야마(Yoshihiro Francis Fukuyama)의 ‘역사의 종언’으로 대표되는 서방 세계의 낙관적인 주장들을 비판하고 세계정세의 변화를 해석하는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문명의 충돌’을 집필했다고 말한다. 이 책의 중심논지는 ‘탈냉전 시대에 사상 최초로 세계정치가 다극화·다문명화 되었으며, 문명 정체성이 탈냉전 세계에서 전개되는 결집, 분열, 갈등의 양상을 규정한다.’는 주장이다. 헌팅턴은 종교가 문명을 규정하는 핵심적 특성이라는 전제 하에 탈냉전 세계의 주요 문명을 중화 문명(중국 문명), 일본 문명, 힌두 문명, 이슬람 문명, 정교 문명, 서구 문명, 라틴아메리카 문명, 아프리카 문명으로 나눈다. 경제 성장에 힘입은 아시아와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슬람이 서구 주도의 세계 질서에 대해 도전하게 됨에 따라, 서구 문명은 이슬람 문명 및 중화 문명과 충돌하게 될 것이라고 헌팅턴은 전망한다. 탈냉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분쟁의 원인을 상이한 문명 사이의 충돌로 보는 헌팅턴의 이러한 해석은, 한편으로는 경제적 갈등과 그에 따른 정치적 역학 관계를 간과했거나 호도했다는 비판을 받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냉전 이후 세계정세의 변화를 진단하고 분석하려는 학자들과 정치가들 그리고 정책 입안자들 사이에서 21세기 초반인 현재까지도 회자되고 있다. 특히 2001년 9.11 테러로 더욱 각광을 받았으며, 최근 이슬람 세력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폭력 사태(IS테러 포함)를 해석하는 틀로 작용하고 있다.

헌팅턴 자신이 밝힌 이 책의 집필 동기와 주장은 일견 가치중립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세계정세의 변화를 해석하는 패러다임을 제시하겠다는 것은 이미 세계관과 가치관을 내포한 정치적 기획이다. 헌팅턴은 문명 패러다임이 한시적 수명의 유용함을 가진다고 했지만, 그 정치적 기획이 가진 실제 의도에 대해서는 명시적인 답변을 회피한다. 우리는 문명 패러다임이 ‘누구에게 유용한가?’라는 질문을 던져야 한다. 그럴 때 우리는 이 책의 또 다른 집필 의도를 발견하게 된다. 그것은 바로 ‘미국 패권주의의 안정적인 유지’이다. 냉전의 종식이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기반으로 한 서방세계의 완승인 것 같지만, 이데올로기 갈등이 사라진 자리를 종교에 기초한 문명의 충돌이 대신할 것이라는 경고성 주장을 함으로써 헌팅턴은 서구의 핵심국인 미국의 낙관적이고 오만한 태도를 질타한다. 다문명적 세계에서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서구 문명이 유지되고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서구적 정체성을 견지, 수호, 쇄신해야 하며 특히 미국이 서구 문명의 지도국으로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헌팅턴은 주장한다.
이렇듯 헌팅턴은 자신이 끼고 있는 렌즈가 한시적 수명을 가진다는 것을 솔직하게 말했으나 그 렌즈의 색깔에 대해서는 함구하였다. ‘문명의 충돌’은 우리가 한시적 수명과 색깔을 가진 각각의 렌즈를 끼고 있음을 상기시키고 성찰하게 하는 타산지석과 같은 책이다. 9.11 테러와 최근 폭력 사태의 원인에 대한 균형 잡힌 분석을 하기도 전에, 이 책의 내용과 개념을 이해하기도 전에, 헌팅턴의 주장에 대한 찬반 입장을 표명하기도 전에, 이미 ‘문명의 충돌’이라는 말이 정치시사용어가 되어 우리의 사고를 규정하는 것으로부터 우리는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까? 우리가 끼고 있는 렌즈의 색깔은 무엇인가?

관련기사





[사설] 지방대학 고사 막기 위한 정치권의 정책적 용단 필요 유난히도 올여름은 무더웠고 비도 많이 내렸다. 어느 한순간,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의 아름다운 계절이 되었다. 하늘 푸르고 높은 이 시간에 대학은 푸르고 높은 하늘만을 ‘멍’ 때리며 바라 볼 수 없다. 수시 입시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수시가 시작되면 전국의 대학들은 숨을 죽이고 지켜본다. 2024학년도 수시 입시의 지원 결과 서울과 수도권 대학의 입시경쟁률은 상승했고, 지방대학들의 경우는 하락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찌 보면 예상했던 당연한 결과이지만 대부분의 신입생을 수시라는 입시제도를 통해 뽑고 있는 지방대학들에는 치명적이다. 지방대학이 고사 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어렵다. 지방대학의 고사는 지방 인구의 감소와 지역소멸이라는 절대적인 위기의식을 불러오고, 향후 커다란 국가 전체 위기로 발전할 수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소멸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방안을 허겁지겁 제시하고 있지만 이미 임계점을 넘은 우리 국민의 지방 탈출, 즉 ‘지방 엑소더스’의 거대한 파고를 막을 수는 없어 보인다. 문제의 핵심은 왜 서울을 선호하는가? 이다. 서울이 경제, 문화 및 교육의 중심지라는 생각과 출세가 가능한 곳이라는 현실과 믿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