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3.1℃
  • 맑음강릉 3.4℃
  • 맑음서울 -0.4℃
  • 맑음대전 0.3℃
  • 맑음대구 4.8℃
  • 구름조금울산 5.2℃
  • 구름많음광주 2.7℃
  • 구름많음부산 7.3℃
  • 흐림고창 1.6℃
  • 구름많음제주 6.9℃
  • 맑음강화 -2.6℃
  • 맑음보은 0.3℃
  • 맑음금산 0.3℃
  • 구름많음강진군 3.8℃
  • 맑음경주시 4.6℃
  • 구름조금거제 6.9℃
기상청 제공

금융투자 목적, 韓 목돈, 美.日은 노후자금

금융상품 투자비중 美 > 韓 > 日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 우리나라 투자자들은 금융투자 목적으로 목돈마련을 가장 많이 꼽은 반면 미국과 일본 투자자들은 노후자금 마련을 꼽았다.

가계 금융자산 중 주식.채권.펀드 등 금융투자상품 투자비중은 미국이 53.3%로 가장 높았던 반면, 우리나라는 29.8%, 일본은 13.5% 순이었다.

금융투자협회는 16일 한국 개인투자자 1천506명, 미국 펀드투자자 1천805명, 일본 개인투자자 1천95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를 비교.분석한 '한.미.일 금융투자자의 투자실태' 보고서를 내놨다.


금융투자의 목적에 대해 한국 주식투자자의 69.0%와 펀드투자자의 58.8%는 목돈마련을 꼽았으며, 노후자금 마련이라고 답한 사람은 주식투자자의 14.4%와 펀드투자자의 16.2%에 불과했다.

반면 미국의 경우 76.0%가 금융투자의 목적으로 노후자금마련을 꼽았으며, 일본도 장기자산운용과 노후자금마련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각각 50.0%와 34.7%에 달했다.

임병태 연구원은 "목돈마련 등 재산형성에 주안점을 둔 한국에 비해 미국과 일본의 금융투자자들은 장기적인 노후대비를 금융투자의 주요목표로 인식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평균 주식보유기간을 비교해봐도 우리나라에 비해 일본이 장기투자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투자자의 경우 투자기간으로 32.6%가 1개월 이상 3개월 미만을 꼽았으며, 1년 이상 보유한다는 비율은 16.4%에 불과했다. 반면 일본의 경우 1년 이상 보유한다는 비중이 전체 응답자의 87.5%이상을 차지했으며, 10년 이상 보유한다는 비율도 30.3%에 달했다.

게다가 우리나라 투자자들은 펀드투자시 1개 펀드에만 몰빵하는 경우가 42.7%로 가장 많았던 반면 미국의 경우 5개 이상에 분산투자하는 경우가 49.0%로 가장 많았다.

또 펀드투자시 우리나라 투자자들은 수익률을 더 중시 한 반면 일본은 안정성을 더 중시했다.

임 연구원은 "우리나라 가계 금융자산이 현금이나 예금에 집중된 모습에서 탈피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장기 분산투자 측면에서는 미국이나 일본에 비해 미흡했다"면서 "선진국과 같은 장기.분산투자 문화 정착을 위해 보다 많은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yulsid@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2010/03/16 11:52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