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3.0℃
  • 구름많음강릉 2.3℃
  • 맑음서울 2.1℃
  • 맑음대전 4.0℃
  • 맑음대구 4.5℃
  • 맑음울산 4.4℃
  • 구름조금광주 4.0℃
  • 맑음부산 5.9℃
  • 구름많음고창 3.0℃
  • 구름많음제주 5.4℃
  • 맑음강화 2.3℃
  • 맑음보은 2.7℃
  • 맑음금산 3.0℃
  • 구름많음강진군 ℃
  • 구름많음경주시 3.9℃
  • 맑음거제 5.4℃
기상청 제공

[1160호 All about 표현력]

 

<자주 틀리는 우리 말>


웬지 vs 왠지
A1. ‘왠지’는 ‘왜인지’의 준말로, ‘왜 그런지 모르게’, 또는 ‘무슨 까닭인지’로 해석되는 부사입니다. 따라서 ‘웬지’는 올바른 표현이 아닙니다. ‘왠지’인지 ‘웬지’인지 헷갈릴 때는 부사 자리에 ‘왜 그런지’를 대입해 보세요. ‘왜’와 ‘왠’의 표기를 연관 짓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오늘은 왠지 치킨이 먹고 싶어

 

웬일 vs 왠일
A2. ‘왠지’와 더불어 자주 틀리는 표현 중 하나인 ‘웬일’. 아마도 이 표현이 의문사인 ‘왜’와 명사인 ‘일’이 결합된 말이라고 생각해서 헷갈리는데요. 하지만 ‘웬일’의 ‘웬’은 ‘어찌 된’, 또는 ‘어떠한’의 뜻으로 쓰입니다. 따라서 ‘웬일’은 ‘어찌 된 일’이란 뜻이 됩니다.
· 이렇게 일찍 등교하다니, 웬일이야?

 

‘있다가’ 와 ‘이따가’
A3. ‘있다가’와 ‘이따가’는 그 쓰임에 주의해야 합니다. 먼저 ‘있다가’는 동사 ‘있다’에 ‘~다가’라는 연결어미가 붙은 꼴로, “방에 있다가 밖에 나갔다.”처럼 쓰입니다. 하지만 ‘조금 지난 후에’라는 뜻의 부사로 쓰일 때에는 ‘이따가’가 맞습니다.
· 헬스장에 있다가 집으로 왔다.

 

뵈요 vs 봬요
A4. ‘봬요’는 ‘뵈다’의 ‘뵈’에 ‘요’가 붙은 꼴이 아니라, ‘뵈어요’의 준말입니다. 먼저 ‘뵈다’의 어가인 ‘뵈~’ 뒤에 어미 ‘~어’가 붙으면 ‘뵈어’가 되는데, ‘봬’로 줄일 수 있습니다. 여기에 다시 보조사 ‘요’를 붙이면 ‘봬요’가 됩니다. ‘봬요=뵈어요’로 기억하세요.
· 그럼 다음 주에 도서관에서 봬요.

 

할게 vs 할께
A5. ‘관형사형 ‘-(으)ㄹ’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 한다.’는 표준발음법에 따르면, ‘할게’는 [할께]로 발음해야 맞습니다. 하지만 이 발음 때문에 표기까지 ‘할께’가 맞는 걸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종결 어미 ‘-(ㄹ)게’는 된소리가 아닌 예사소리로 적어야 합니다.
· 설거지는 내가 할게

 

오랫만에 vs 오랜만에
A6. ‘오랜만에’의 ‘오랜만’은 ‘오래간만’의 준말입니다. 어떤 일이 일어난 때로부터 긴 시간이 흐른 후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이것을 ‘오랫만’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오랫만’이란 표현은 우리말에 없습니다. ‘오랫동안’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합시다.
· 오랜만에 동창들을 만나니까 옛 추억이 떠오르네.


[ 정답: O, X, O, X, O, X ]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