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3.8℃
  • 구름많음강릉 4.4℃
  • 구름조금서울 3.1℃
  • 맑음대전 5.3℃
  • 맑음대구 5.4℃
  • 맑음울산 5.4℃
  • 맑음광주 5.3℃
  • 맑음부산 6.6℃
  • 맑음고창 4.2℃
  • 구름많음제주 5.9℃
  • 구름많음강화 2.3℃
  • 맑음보은 3.9℃
  • 맑음금산 4.3℃
  • 맑음강진군 ℃
  • 구름많음경주시 5.4℃
  • 맑음거제 6.4℃
기상청 제공

[1161호 All about 표현력]

 

<자주 틀리는 우리 말>

Q1. ‘맞히다’ 와 ‘맞추다’
 ‘맞히다’는 ‘문제의 답 따위를 정확하게 고르다’란 뜻이고, ‘맞추다’는 ‘순서나 열을 똑바르게 하다’는 뜻입니다. 또 ‘맞히다’는 ‘한 물체가 다른 물체에 닿다’는 뜻을 가진 ‘맞다’의 사동형으로, “화살을 과녁에 맞히다.”처럼 쓸 수 있습니다.
 · 문제를 맞혔다.

 

Q2. 아니오 vs 아니요
 의문문에 대한 대답의 감탄사로는 ‘예/아니요’와 ‘응/아니’가 쓰입니다. 그런데 ‘아니오’는 어떤 사실을 부정할 때 쓰는 ‘아니다’에 종결 어미 ‘-오’가 붙은 활용형으로, “그것은 사실이 아니오.”처럼 씁니다. 


Q3. 거예요 vs 거에요
 받침이 없는 체언 뒤에는 ‘~이에요’가 줄어든 형태인 ‘~예요’가 붙습니다. ‘거예요’에서 ‘거’는 ‘것’을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로 받침이 없으니 ‘거예요’라고 써야 합니다. 하지만 ‘책’처럼 받침이 있는 경우엔 ‘책이에요’라고 써야 합니다. 참고로, 용언인 ‘아니다’의 경우, 어간 ‘아니-’에 ‘~에요’가 붙은 ‘아니에요’가 맞습니다.


Q4. ‘들르다’ 와 ‘들리다’
 ‘들르다’와 ‘들리다’는 의미와 활용의 차이가 뚜렷한 별개의 단어입니다. ‘지나가는 길에 잠깐 머물다’란 뜻으로 쓰일 때에는 ‘들르다’를 쓰고, ‘들르고’, ‘들르지’, ‘들러서’ 등으로 활용합니다. 반면, ‘들리다’는 ‘듣다’의 피동형으로 ‘들리고’, ‘들리지’, ‘들려서’ 등으로 활용합니다.
 · 에어팟으로 들으니 음악이 잘 들린다.

 

Q5. 금세 vs 금새
 ‘지금 바로’란 뜻의 부사 ‘금세’는 ‘금시에’의 준말입니다. 그러니까 ‘금새’는 ‘금세’의 잘못된 표기죠. ‘금시에’의 ‘에’에 주목하여 ‘금세=금시에’라는 우리말 공식을 만들어 기억하면 됩니다.

Q6. 달달이 vs 다달이
 어원을 따지자면 ‘다달이’는 ‘달달이’에서 온 말입니다. 하지만 ‘달달이’는 자음 탈락 현상에 의해 ‘ㄹ’이 탈락해 ‘다달이’가 됩니다. 또한 끝소리가 ‘ㄹ’인 말과 다른 말이 어울릴 때, ‘ㄹ’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소리 나지 않는 대로 적는다는 표준어 규정에 따라, ‘다달이’로 써야 맞습니다.

 


[ 정답: O, O, O, O, O, X ]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