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7.6℃
  • 맑음강릉 17.3℃
  • 맑음서울 10.4℃
  • 맑음대전 11.2℃
  • 맑음대구 14.3℃
  • 맑음울산 14.4℃
  • 맑음광주 11.4℃
  • 맑음부산 14.3℃
  • 맑음고창 8.1℃
  • 맑음제주 19.0℃
  • 맑음강화 4.7℃
  • 맑음보은 6.0℃
  • 맑음금산 9.9℃
  • 맑음강진군 7.2℃
  • 맑음경주시 8.9℃
  • 맑음거제 13.6℃
기상청 제공

[1163호 All about 표현력]

 

<자주 틀리는 우리 말>
괜시리 vs 괜스레 
A1. 아마 ‘괜시리’와 ‘괜스레’ 중 사용 빈도만 놓고 따지면 전자가 훨씬 우세할 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 표현이 어디에서 왔는가를 살펴보면 표준어를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공연스럽다’란 뜻의 형용사 ‘괜스럽다’에서 온 부사가 바로 ‘괜스레’이므로, ‘괜시리’는 틀린 표현입니다.

 

경신과 갱신
A2. ‘경신’과 ‘갱신’은 한자가 ‘更新’으로 같습니다. ‘更’을 어떤 의미로 쓰느냐에 따라 읽는 방법이 달라지는데, ‘고치다’란 뜻으로 쓸 때에는 ‘경’으로 읽고, ‘다시’란 뜻으로 쓸 때에는 ‘갱’으로 읽습니다. 기록을 깨뜨려 새롭게 고치는 것을 의미한다면 ‘경신’이 맞습니다. ‘갱신’은 기간을 연장한다는 뜻으로, ‘면허 갱신’처럼 쓰입니다.
 
곤혹과 곤욕
A3. ‘곤란한 일로 인해 느끼는 감정’을 뜻하는 ‘곤혹’, 그리고 ‘심한 모욕’을 뜻하는 ‘곤욕’. 이 둘은 어떻게 쓰이는지를 살펴보면 구별하기 쉽습니다. ‘곤혹’은 주로 ‘곤혹스럽다’나 ‘곤혹을 느끼다’라고 쓰고, ‘곤욕’은 ‘곤욕을 당하다’, ‘곤욕을 치르다’, ‘곤욕을 겪다’라고 씁니다.

 

염두에 두다 vs 염두해 두다
A4. ‘염두(念頭)’는 ‘마음속’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그러므로 ‘~(을)를 염두에 두다’라고 하면, ‘마음속에 어떤 것을 담아 두다’란 뜻이 됩니다. 그런데 ‘염두’를 ‘염두하다’란 동사로 잘못 알고, ‘염두해 두다’라고 쓰는 경우가 많은데, ‘염두하다’는 우리말에 없습니다.

 

고난이도 vs 고난도
A5. ‘난이도(難易度)’는 어려움과 쉬움의 정도이고 ‘난도(難度)’는 어려움의 정도입니다. 이때 ‘난이도’에 ‘높을 고(高)’자를 붙이면, ‘어려움과 쉬움의 정도가 모두 높다’는 비논리적인 의미가 됩니다. 따라서 ‘매우 어렵다’는 뜻을 나타낼 때에는 ‘고난도’라고 해야 옳습니다.

 

주책없다 vs 주책이다
A6. ‘주책’은 ‘일정하게 자리 잡힌 주장이나 판단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책’이 없다고 해야, 줏대 없이 이랬다저랬다 하는 사람을 가리키게 됩니다. 그런데 이를 ‘주책이다’라고 표현하면, 실없는 사람이란 뜻에서 멀어지게 되므로, ‘주책없다’라고 해야 합니다.

 


[ 정답: X, O, O, X, O, O ]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