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은 인간을 만들었고, 인간은 도시를 만들었다.” 영국 시인 윌리엄 쿠퍼의 이 말은 우리학교 경영학과 85학번 동문이자 현재 대구시 경제국장에 재직하고 있는 홍석준(도시계획학) 특임교수의 신간저서 ‘흥하는 도시 망하는 도시’의 머리말에 등장한 문구다. 홍석준 교수는 세계 여러 도시의 흥망성쇠…
지난 7월 31일, 임정균(일반대학원·문예창작학·박사과정) 씨가 ‘2019 창비신인문학상’에서 창비신인평론상을 수상했다. 임정균 씨가 쓴 ‘마음의 리얼리즘: 김금희론’은 감정의 폐기를 종용하는 우리 시대의 감정적 현실을 투시하여 김금희 작가의 작품세계를 담아내고 있다. 임정균 씨를 만나 수…
시골하면 떠오르는 어르신들의 농사짓는 모습, 하지만 최근 농촌은 어르신들보다 청년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농촌의 때 아닌 청년 급증의 이유로는 최근 농가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고 있는 6차 산업의 발달을 꼽을 수 있다. 이에 우리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은 올해 3월 ‘6차 산업 창농과정’을 개설…
우리학교 여성학과에 재직 중인 조주현 교수의 저서 『정체성 정치에서 아고니즘 정치로: 여성학 방법론과 페미니즘 정치의 실천적 전환』이 지난 7월 초 ‘2019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됐다. 한 권의 책을 세상에 내기 위해 9년을 연구해온 조주현 교수와 인터뷰를 진행하며 책에 대한 깊은…
우리학교에는 아침저녁으로 많은 분들이 건물관리, 환경미화, 조경관리 등 학생들의 안전과 쾌적한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여름이나 한겨울에도 오랜 시간 밖에서 학생들을 위해 차량통제를 하는 신문교(관리1팀·관리운영직) 정문 수위 담당자와 학생들의 든든한 학교생활을 위해 맛있는…
지난 10일 우리학교 본관에서 ‘제23회 계명교사상’ 시상식이 있었다. 계명교사상은 1996년 제정되어 지금까지 대구·경북지역 61명의 교사들에게 시상했으며, 교육계 최고 권위의 상으로 발전해왔다. 이 상은 교육연구 분야, 학생 및 진로지도 분야, 종교・사회봉사 분야로 나누어 시상하며 올해는 이…
학생들이 학교생활을 건강하게 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관. 바로 우리학교 학생상담센터이다. 센터에서 학생상담을 총괄하고 있는 노혜숙(학생상담센터) 교수를 만나 학생상담센터에 대한 설명과 학생들에게 어떤 도움을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해 들어봤다. Q. 학생 상담센터는 어떤 곳인가요? 학생상…
동산병원 이비인후과 김동은(의학) 교수가 지난 4월 5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47회 보건의 날 기념식’에서 취약계층 보건증진에 이바지한 공로로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 김동은 교수는 2006년부터 건강 보험 혜택을 볼 수 없는 ‘미등록 이주노동자’들을 위해 경산과 성서공단에 있는…
5월이 시작된 지금, 추위는 물러 간지 오래고 캠퍼스 내에서도 반팔을 입은 학생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뜨거운 여름이 곧 다가온다는 징조이다. 뜨거운 것은 비단 날씨만은 아니다. 우리학교에는 1992년도부터 늘 봉사에 대한 뜨거운 마음을 가지고 살아온 사람이 있다. 바로 김희태(Tabula Rasa Co…
지난 3월 28일과 29일 양일간, 미국의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학교에서 시조와 판소리 등 한국의 문화와 문학작품을 미국 학생 및 교민들에게 알리고 공유하는 심포지엄이 열렸다. 이 행사는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이끄는 한국문학번역원이 주최했으며 워싱턴대 동아시아 연구 프로그램, 게이트웨이 한국재단…
2014년 9월에 우리학교 경영학과로 입학하여 작년 9월에 졸업한 텅반동(TUONG VAN DONG)(경영학·14학번) 씨는 베트남에서 성공한 젊은 사업가로 주목받고 있다. 텅반동 씨는 지난 20일 학교를 방문하여 ‘지난 4년 동안 학교에서 받은 도움에 보답하고자 한다’며 우리학교 창립 120주년을 맞이해…
새학기를 알리는 동아리 가두모집이 ‘모두가 하나 되어, 즐겁게 소통하는’이라는 슬로건 아래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5일 간 진행되었다. 네트워킹 활성화라는 공약을 지키기 위해 새로운 행사를 계획한 조두현(경영학·3) 총동아리연합회장을 만나 이번 가두모집의 뒷이야기와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들어…
이동재(전기에너지공학·4) 씨의 첫 논문 ‘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활용한 용액법 기반의 반투명 유기태양광전기 개발’이 미국전기화학회에서 출간하는 국제학술지 ‘ECS Journal of Solid State Science and Technology’에 실렸다. 이동재 씨의 연구결과로 태양광전지의 공정비…
매서운 겨울이 끝나고 모두가 들뜬 마음으로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는 지금, 오랜 교직 생활을 마무리하고 인생 2막에 돌입하는 주인공이 있다. 한국과학기술원 경영과학 박사과정을 수료한 후, 36년간 우리 학교 경영공학과에 몸담았던 정승학 교수다. 길었던 교직 생활만큼이나 기억에 남는 일들과 해주고 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