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2.7℃
  • 구름조금강릉 28.1℃
  • 흐림서울 21.9℃
  • 구름많음대전 24.4℃
  • 흐림대구 27.5℃
  • 구름많음울산 26.5℃
  • 구름많음광주 26.6℃
  • 구름많음부산 24.3℃
  • 구름많음고창 26.1℃
  • 구름많음제주 22.5℃
  • 구름많음강화 20.8℃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4.5℃
  • 구름많음강진군 27.0℃
  • 구름많음경주시 28.5℃
  • 구름많음거제 23.6℃
기상청 제공

계명문학상 작품보기

제27회 계명문화상 시 부문 당선작-김재현(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ㆍ1)

  • 작성자 : 계명대신문사
  • 작성일 : 2007-05-21 12:54:33

제27회 계명문화상 시 부문 당선작입니다.

 

당선자: 김재현(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ㆍ1)

 

벵골의 호랑이 사냥

 

벵골의 호랑이 사냥꾼이 되고 싶었다.
갠지스와 브라마푸트라의 물줄기가 쌀을 익히는 저녁,
어딘가에서 노을처럼, 핏빛의 포효가 숲을 적시면
사냥꾼들은 엽총 한 자루를 쥐고 일어섰을 것이다.
호랑이의 두 눈은 긴 세월, 날카롭게 벼려진
달의 색채로 번들거렸고
몸을 뒤덮은 호반은 벵골만 나무의 뿌리처럼
호랑이의 노란 털을 가로지르고 있었을 것이다.
강이 땅으로 스며들어 곡식을 키우듯,
체액에 젖은 근육으로 두려움이 스밀 때
몸 속에선 한 떨기의 날카로운 열기도 고개를 들었다.
사냥꾼들은 그것을 용기라 불렀을 것이다.
사람들은 사냥꾼들의 용기를 사랑했을 것이다.
우리가 벵골의 호랑이 사냥꾼이 되었다면, 오늘은
갠지스와 브라마푸트라의 물줄기가 땅을 적시는 저녁이었고
황금빛으로 번진 벵골만의 쌀을 추수하는 날이었겠지만,
벵골 호랑이는 멸종했고, 우리는
오직 한 자루의 펜만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호랑이가 있을 숲도, 호랑이도 없이
세상에는 이제 사냥꾼들의 총 드는 습관만 남았다.
호랑이가 없었으므로, 총은 겨누어선 안 될 곳을 향했고
우리는 유약해서 우리끼리의 펜을 들고 싸운다
강이 땅으로 스며들어 곡식을 키우듯, 체액에 젖은
근육으로 두려움이 스며, 한 떨기 열기가 피어났지만
우리는 그것을 용기라 부를 수 없었다.
그리하여 갠지스와 브라마푸트라의 물줄기가 흘러도 지금은
敵 없는 敵意가 호반처럼 세상을 더럽히는 저녁,
벵골 호랑이 사냥꾼의 총 뽑는 습관만이 남아 있는 저녁,
사람들의 몸 위로 벵골 호랑이의 호반이 생겨나기 시작했으나
호랑이를 사냥하는 그 뜻만을 유전 받은 우리는
벵골만을 지키기 위해 한 편의
詩따위를 쓰는 것밖엔 할 수 없는 저녁인 것이다.

 

 

네티즌 의견 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164 제 30회 계명문화상 시 부문 심사평-안도현 시인 계명대신문사 2010/06/24
163 제 30회 계명문화상 소설부문 당선작 / 초식 계명대신문사 2010/06/24
162 제 30회 계명문화상 시부문 당선작 / 나무에 살다 2 계명대신문사 2010/06/24
161 제 29회 계명문화상 시 부문 심사평-안도현 시인 계명대신문사 2009/05/25
160 제 29회 계명문화상 시 부문 당선작-전인배(대구가톨릭대 스… 계명대신문사 2009/05/25
159 제 29회 계명문화상 소설 부문 심사평-성석제 소설가 계명대신문사 2009/05/25
158 제 29회 계명문화상 소설 부문 당선작-김수진(경희대 국어국… 계명대신문사 2009/05/25
157 제 28회 계명문화상 소설부분 당선작 - 다소 타히티적인 계명대신문사 2008/05/25
156 제 28회 계명문화상 소설부분 심사평 - 성석제 소설가 계명대신문사 2008/05/25
155 제28회 계명문화상 시부분 당선작(공동수상)- 조윤희(우석대… 계명대신문사 2008/05/25
154 제28회 계명문화상 시 부문 심사평-안도현 시인 계명대신문사 2008/05/25
153 제27회 계명문화상 시 부문 심사평-고은 시인 계명대신문사 2007/05/21
* 제27회 계명문화상 시 부문 당선작-김재현(경희대학교 국어… 계명대신문사 2007/05/21
151 제27회 계명문화상 소설 부문 심사평-은희경 소설가 계명대신문사 2007/05/21
150 제27회 계명문화상 소설 부문 당선작-이대로(중앙대 문예창… 계명대신문사 2007/05/21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