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학생들은 1마일이 실제로 얼만큼인지는 모르지만 그런 문제가 시험에 나오면 맞출 수는 있을 겁니다. (…) 어떤 아이는 2차방정식을 풀 줄 알지만 옷에 단추를 달거나 달걀을 부칠 줄은 모릅니다. 사인펜으로 답안지의 동그라미를 칠할 줄은 알지만 담장을 쌓을 줄은 모릅니다” 이 말은 헬레나 노르베리-…
10월 9일은 565돌 한글날이다. 인터넷에 누리꾼들이 세종대왕에게 엄청 감사드린다고 인사가 자자하다. 또 각국의 PC자판을 소개하고 있다. 구미와 우리는 비슷하게 간단하지만, 중국과 일본은 좀 복잡하다. 그래서 또 감사! 8일자 중앙일보 BOOK 페이지에는 일본인이 한글에 반하여 책을 썼다는 기사가…
지금 세계의 곳곳은 빠르게 연결되어 돌아가고 있다. 공항은 연휴 때 마다 해외로 나가려는 여행객들로 북새통을 이루고, 멀리 떨어진 그리스의 재정위기로 국내 증시와 환율은 요동친다. 트위터나 페이스북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전 세계의 어느 곳에서든 정보를 공유하고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시대…
영화 ‘Accepted’는 대학진학에 실패한 한 학생이 실망하는 부모님을 속이기 위해 가짜 대학의 합격통지서와 웹사이트를 만드는 조금은 어이없는 내용으로 시작된다. 이런 아들의 입학을 믿게 된 부모는 개학에 맞춰 학교를 방문하길 원하고, 이 학생은 결국 건물을 임대하고, 대학까지 가짜로 만들어…
새로운 학기가 시작된지 며칠이 지났다. 아직까지는 마음의 여유가 있어 책읽기에는 더없이 좋은 시기가 아닌가 싶다. “자본주의 4.0”은 세계적인 경제평론가 아나톨 칼레츠키가 자본주의의 발전궤적을 18세기 후반부터의 실증자료를 토대로 살펴본 책이다. 자본주의 4.0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자본주…
주말에 모처럼 본 ‘마당을 나온 암탉’이라는 애니메이션 영화는 삶에 대해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해주었다. 양계장에서 알을 낳는 것이 전부인 ‘잎새’라는 암탉이 마당에서 줄지어 다니는 오리와 다른 닭들을 보며 ‘나도 언젠가는 마당에 나가 알을 품어보리라’는 희망을 갖는다. 그 희망을 이루기 위해…
식상한 질문을 해본다. 나는 무엇 때문에 살고 있는가? 고등학교에서나 대학교에서나 또 사회에 나가서도 변함없이 경쟁하고 공부해야 하는 갑갑한 현실을 살기도 바쁜데 한가한 질문이다 싶다. 그런데 자꾸 카이스트 학생들의 슬픈 소식을 접하면서 그들이 궁극에 던졌을 이 질문을 해본다. 나는 무엇으로 살…
소통을 강조하는 만큼 역설적으로 소통이 부재한 이 시대에 종종 말에 민감해질 때가 있다. 귀가 예민하게 발달한 것도 아닌데, 언제부터인가 소리가 지닌 속성으로 인해 기분이 좌우된다. 쉐턱관 4층 연구실에서 듣는 학생들의 말소리는 언제나 기괴한 소음이다. 웬만하면 견딜 법도 한데, 참지 못할 때가 많다…
과거에 비해 우리 사회가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진 것은 사실이지만 그 만큼 행복해졌는가라는 질문에 선뜻 ‘그렇다’고 대답하기 어렵다. 치열한 경쟁을 뚫고 대학에 들어온 후에는 좋은 학점을 받고 스펙을 쌓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또한 취업을 하기 위해 잠시 한 눈을 팔 여유도 없다. 이러한 생존 경쟁 속에…
‘연극이 없는 사회는 존재할 가치가 없다’는 피터 셰퍼(Peter Shaffer)의 <고곤의 선물, The Gift of the Gorgon>(1992)에 나오는 대사처럼 배우가 사라진 세상은 색을 잃은 물감처럼, 존재하지만 생명이 사라진 세계와 같을 것이다. 연기는 아름다운 예술이기 때문이다. 이성에만 의…
여기 왼쪽 집게손가락 하나가 없는 사람이 있습니다. 어쩌다가 손가락을 잃어버렸냐고 물으니 이렇게 대답합니다. 도자기 만드는 데 빠졌었지요, 녹로를 돌려야 하잖소, 그런데 이게 자꾸 거치적거리는 거요. 그래서 어느 날 손도끼를 들어……. 상상하기도 끔찍하지요. 이런 말을 할 만한 사람을 그려본다면,…
따스한 봄바람이 부는 캠퍼스, 우리 학생들에게 일본의 한 영화를 소개하고자 한다. ‘히미코’의 방이라는 뜻의 이 영화 제목 ‘메종 드 히미코’는 늙은 게이들이 모여사는 양로원의 이름이다. 양로원의 주인인 ‘히미코’의 이름을 따서 만든 히미코의 방이라는 뜻의 영화 제목은 왠지 기분이 따스해진다.…
지난겨울, 유난이도 눈이 많이 내리고 추웠던 날씨가 한풀 꺾기고 봄이 찾아 왔다. 개학을 하면서 새로운 얼굴들과 한결 가벼워진 옷차림으로 캠퍼스를 오가는 학생들이 봄이 왔음을 실감나게 한다. 새로움을 알리는 봄. 나는 한해를 시작하는 계절에 새로운 창조적 시도를 한 영화 한 편을 소개하려 한다. ‘올…
학창시절 친하게 지냈던 여학우의 남편이 베를린 영화제 단편 부문에서 대상을 받았다는 연락이 왔다. 그 참에 친구 몇몇이 모여 얘기꽃을 피웠는데, 일본 애니메이션도 주요 얘깃거리였다. 지브리로 대표되는 일본 작품들이 지금의 수준에 이를 수 있었던 것은 매년 수백 편의 작품들이 치열하게 경합하기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