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학기가 시작되었다. 새내기에서부터 졸업을 앞둔 마지막 학기 수강생에 이르기까지 모든 학생들이 미래를 향한 빛을 여는데 여념이 없다. 이들의 표정에는 거친 땅을 일구어 기름진 땅을 만들거나 혹은 새로운 세계를 개척하려는 진취적인 모험 정신이 가득 차 있다.
‘우공이산(愚公移山)’이라는 말이 있다.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쉬지 않고 꾸준하게 한 가지 일만 열심히 하면 마침내 큰일을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남이 보기에는 어리석은 것처럼 보이지만 한 가지 일을 끝까지 밀고 나가면 언젠가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 말은 춘추시대의 사상가 열자(列子)의 철학사상을 기술한 「열자(列子)」<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 우화에서 비롯되었다.
옛날 중국의 북산(北山)에 우공이라는 90세 된 노인이 태행산(太行山)과 왕옥산(王屋山) 사이에 살고 있었다. 사방이 700리이고 높이가 만 길이나 되는 두 산이 우공의 집을 가로막고 있어 교통이 불편하였다. 이런 불편을 덜고자 우공은 자식들과 의논하여 산을 옮겨 예주(豫州)의 남쪽까지 곧장 길을 내는 동시에 한수(漢水)의 남쪽까지도 갈 수 있도록 할 계획을 세웠다. 노인의 몸으로 불가능하다는 아내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우공은 세 아들과 손자들을 데리고 돌을 깨고 흙을 파서 삼태기와 광주리에 담아 발해(渤海)에다 버리기 시작하였다. 흙을 발해만까지 한 번 왕복으로 운반하는 데에는 1년이 걸렸다. 모두들 그 일에 열심이어서 일 년 내내 집으로 돌아가 쉬는 경우가 드물었다. 이것을 본 친구 지수(智搜)가 죽을 날이 멀지 않은 노인이 정말 망령(妄靈)이라며 만류하자, 그는 정색을 하고 “나는 늙었지만 나에게는 자식도 있고 손자도 있다. 그 손자는 또 자식을 낳아 자자손손 한없이 대를 잇겠지만 산은 더 불어나는 일이 없지 않은가. 그러니 언젠가는 평평하게 될 날이 오겠지”하고 대답하였다. 이 말을 듣고 깜짝 놀란 것은 두 산을 지키는 사신(蛇神)이었다. 산이 없어지면 큰일이라고 생각한 사신은 옥황상제(玉皇上帝)에게 호소했다. 그러자 우공의 끈기에 감동한 옥황상제는 역신(力神)과 아(娥)의 두 아들에게 명하여 두 산 가운데 하나는 삭동(朔東)에 또 하나는 옹남(雍南)에 옮겨 놓게 하였다고 한다.
우리 계명인들에게 긴 여운과 교훈을 줄 수 있는 구절이다. 아무리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강한 실천의지를 지녔다 하더라도 꾸준한 노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무쇠도 갈면 바늘이 된다고 했다. 날로 거듭나는 계명인들을 상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