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3℃
  • 맑음강릉 3.9℃
  • 박무서울 1.2℃
  • 구름조금대전 2.2℃
  • 흐림대구 -1.2℃
  • 맑음울산 -0.3℃
  • 구름많음광주 4.8℃
  • 맑음부산 3.7℃
  • 구름많음고창 4.6℃
  • 구름많음제주 9.6℃
  • 맑음강화 -2.0℃
  • 맑음보은 1.6℃
  • 맑음금산 2.8℃
  • 흐림강진군 2.8℃
  • 맑음경주시 -1.9℃
  • 맑음거제 1.6℃
기상청 제공

[기자칼럼] 갑을관계의 개선이 필요하다

요즘 세간에 각계각층의 ‘갑’들이 다양한 활동을 선보이고 있다. 라면상무와 빵회장을 필두로 밀어내기 조폭 우유 사건이 이슈로 떠오르더니 정상외교를 떠났던 대변인이 대사관 인턴을 성추행 하는 기상천외한 행동까지 그야말로 다채롭다. 이러한 활동들은 상황과 유형은 다르지만 그 저변에 힘없는 사람을 무시하고 횡포를 부리는 이른바 ‘갑을관계’의 단면을 보여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 큰 사회적 지탄을 받고 있다. 비단 개인의 개념 없는 행동이 아니라 우리 사회에 만연돼 있는 비뚤어진 갑을문화의 동물적 모습이라고 해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론적으로 ‘갑’과 ‘을’의 관계는 상생을 전제로 두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상하관계를 넘어 주종관계라고 할 수 있다. ‘갑’의 의사결정이 ‘을’의 숨통을 끊어 놓을 만큼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갑’들의 부당하고 분통터지는 요구를 그저 관행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하고 침묵 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최근에 들어서 ‘갑’들의 횡포를 폭로하는 ‘을’들의 고발이 이어지고 있다. 생계를 포기하고 증거를 모아서 언론에 알리는가 하면 스스로 목숨을 끊는 극단적인 유형까지 처절한 반격이 시작된 것이다. 일각에서는 그동안 참을 수밖에 없었던 ‘을’들의 반격이 우리사회의 부조리가 더 이상 용인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른 것이라는 신호라는 우려도 낳고 있다. 이대로 두었다간 정말 우리 사회라는 공동체가 해체될 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이 느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갑을문화’의 폐단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두가지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먼저 정부가 경제 성장에만 초점을 맞춰 그에 따른 부작용에 눈감는 정책이 아니라 국가 구성원 모두가 서로 상생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자유민주주의 경제 체제에서 정부가 모든 것을 규제 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지금보다 강화된 보호정책과 체계적인 관리감독이 필요하다. 하지만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보다 시급한 것이 바로 의식의 개선이다. 상대방을 서로 동등한 인격체로 인정하고 상생해야 한다는 근본적인 의식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 생각이 바뀌지 않는다면 제도적 장치 따위야 의미가 없다는 것인 이미 충분히 증명이 되고 있다. 한 맺힌 ‘을’들의 절규가 공감을 얻고 있는 지금이 변하기에 가장 적당한 타이밍인지도 모른다. 누구나 갑과 을이 될 수 있기에 이러한 시대적인 변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그 변화의 시작은 반드시 나부터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되겠다.

관련기사





[독자마당] 봉사활동으로 채워지는 꿈 영원히 미성년에 머물러 있을 줄 알았던 내가 성년이 되었다. 봉사활동을 즐겨 하던 어린아이는 어느덧 스물두 살의 대학교 3학년이 되어 ‘청소년’의 끝자락을 향해 가고 있다. 몇 년간 봉사해 오니, 이것이 적성에 맞는 것 같다는 작은 불씨 하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진로를 향한 작은 불씨는 단순히 봉사활동으로 뿌듯함과 성취감을 느끼는 것이 아닌, 직업으로 삼아 다양한 연령층을 위해 복지를 지원하고, 클라이언트의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는 큰 불씨로 번지게 되어 사회복지학과에 진학하였다. 대학교에서 한 첫 봉사활동은 학교에서 진행하는 독거노인분들께 ‘편지 작성 및 생필품 포장, 카네이션 제작’이었다. 비록 정기적인 봉사는 아니었지만, 빼곡히 적은 편지를 통해 마음을 전해 드릴 수 있었기에 뜻깊음은 배가 되었다. 하지만 조금의 아쉬움은 있었다. 봉사활동이라고 하면 직접 대상자와 소통할 줄 알았는데 해당 봉사는 대상자와 면담하지 못하고, 뒤에서 전달해 드리는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렇기에 가장 기억에 남는 봉사활동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장애아동어린이집‘에서 활동한 겨울 캠프 활동 보조일 것이다. 이곳에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아동들이 다른 길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