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누군가가 절해고도에 갈 때 성악곡 하나만 고르라면 나는 서슴지 않고 이 “오베르뉘의 노래”(Song of the Auvergne)를 택할 것이다. 그것은 꼭 다브라드(Netania Davrath)가 부른 음반이어야 한다. 그만큼 청순하고 가련한 그녀의 목소리는 나를 사로잡는다. 오베르뉘 고원의 맑고…
이번에 학생들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내용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센터의 홈페이지이다. 책, 영화 또는 연극을 주로 추천하는 꼭지인데 홈페이지를 추천하게 되어 다소 생뚱맞을 수 있겠지만, 추천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몇 해 전, 세계문화유산을 소개하고 공부하는 교과목을 강의한 적이 있고 지금도 이 강…
이 책의 저자는 베스트셀러로서 우리에게 알려진 「나쁜 사마리아인들」을 쓴 장하준 교수이다. 그는 영국 캠브리지 대학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는 이 책이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집필하였다고 밝혔다. 사실 경제학은 “경제공부 하지마라”라는 말이 회자될 정도로 어려운…
영화와 같은 소설, 소설과 같은 영화가 있다면 그것은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닥터 지바고(Doctor Zhivago, Доктор Живаго)>일 것이다. 어쩌면 이 작품은 한편의 대서사시와 대서사극이라고 볼 수 있다. 나의 서재 첫째 책장 둘째 칸, 맨 왼쪽에는 소설<닥터 지바고>와…
이 책은 필자가 대학 3학년 때 번역본으로 하룻밤 사이 단숨에 읽은 후 언젠가는 원전으로 꼭 읽어보아야 하겠다는 결심을 하게 만들었다. 1959년 전혜린의 번역으로 한국에 처음 소개된 이미륵 박사(독일인이 사랑한 휴머니스트이자 동양의 현인)가 쓴 이 책은 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인 1946년 독일 피퍼…
초등학교 저학년 시절 즐겨보던 어린이만화잡지에는 먼 미래사회에나 가능할 과학기술을 소개하는 코너가 있었다. 당시 나를 단연 흥분케했던 것 중 하나는 ‘무빙 워크’였다. 그 후 어른이 되어 공항에서 처음으로 평지 무빙 워크를 탔을 때의 그 감격이란! 어릴 적 심취했던 공상과학(Science Fictio…
누구에게나 가슴 쿵쾅거리는 젊은 시절이 있고, 설렘과 동시에 아픔이 가득한 그 시절에는 영혼을 밝혀주는 만남들도 가끔 있다. 필자의 경우 대학 2학년 교육학 수업시간에 만난 칼릴 지브란의 세계가 그런 것이었다. “사랑이 너희를 손짓하거든 따르라, 비록 그 길이 어렵고 험할지라도/ 사랑의 날개가 너희…
차가운 눈송이를 대신하여 따사로운 햇살에 흩날리는 봄꽃들의 계절이 돌아왔다.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아도 눈부신 햇살이 천지의 생명을 일깨우느라 아낌없이 사방을 비추는 모습에서, 자연의 부지런한 움직임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겨우내 잠을 자던 모든 생명들이 일제히 기지개를 펴고 부흥을 알리는 모…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은 ‘삶의 의미이며 목적이고 인간 존재의 목표이며 이유’라고 하였다. 당신은 행복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현재의 나에게, 그리고 또 많은 사람들에게 늘 부족하고 필요한 ‘행복’.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행복해지기를 갈망하는 행복강박증에 시달리고 있다. 좋은 대학만 합격하면…
한국이 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주는 나라’로 탈바꿈했다는 말은 언론매체를 통해 자주 회자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0년 OECD 내 선진 공여국 클럽인 개발원조위원회(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에 가입했고, 2011년 부산에 제4차 원조효과성 고위급회담(High Le…
문학에서 많이 다루어지는 주제들 가운데에 죽음과 영원불멸에 관한 주제가 있다. 인간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죽음을 이해해야 한다는 사고방식이나 혹은 영원을 향한 관문으로써의 죽음이라는 식의 비유는 우리들 주변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다. 그 가운데에서도 인간의 삶은 영원을 향해 있는 짤막한 여…
예전에 『죽기 전에 꼭 읽어야 할 책 1001권』이라는 책이 국내에 번역되어 나온 적이 있다. ‘죽기 전에 꼭 읽어야’ 되는 부담감까지 가질 필요는 없겠으나, 이 자리에서는 1001권의 목록에 올라 있던 책 『안톤 라이저』를 소개하고자 한다. 학업과 일상에 쫓기는 대학생들의 삶이지만, 나의 삶을 잠시 돌이…
삶의 과정에서 우리는 다양한 경험들을 하게 되고, 종종 타인의 차이를 가로질러 보편적으로 말을 걸어야 하는 순간들에 직면한다. 이러한 순간에 시를 통해 삶을 성찰하고 사유하며, 위로 받고 감동하는 것은 어떨까. 이를 기대하며 “인간과 인간의 삶을 이해하고자 노력하는 행위”를 시로 담고자 했던 시인…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해 주는 품사임은 분명하다. 그런데 ‘위대한’이라는 형용사 때문에 개츠비가 실제로 위대하다는 것인지, ‘위대한’이라는 형용사를 앞에 둠으로써 위대하지 않은 개츠비를 위대하게 만든다는 것인지, 아니면 위대하게 보이는 개츠비의 실체를 파헤침으로써 그의 위대함을 조롱하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