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3℃
  • 구름조금강릉 -1.3℃
  • 구름많음서울 3.0℃
  • 대전 2.1℃
  • 구름많음대구 1.4℃
  • 구름많음울산 1.0℃
  • 연무광주 2.4℃
  • 구름많음부산 3.5℃
  • 구름많음고창 0.5℃
  • 제주 6.6℃
  • 구름많음강화 -1.4℃
  • 맑음보은 1.6℃
  • 맑음금산 0.9℃
  • 맑음강진군 2.8℃
  • 맑음경주시 -0.3℃
  • 구름조금거제 2.4℃
기상청 제공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세계화된 클래식, 세계유산

이번에 학생들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내용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센터의 홈페이지이다. 책, 영화 또는 연극을 주로 추천하는 꼭지인데 홈페이지를 추천하게 되어 다소 생뚱맞을 수 있겠지만, 추천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몇 해 전, 세계문화유산을 소개하고 공부하는 교과목을 강의한 적이 있고 지금도 이 강좌가 운영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학생들이 세계의 전래되는 유산을 학습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견지에서 소개하려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센터 홈페이지는 자료 이상의 가치가 있다.

1972년, 유네스코는 세계 문화 및 자연 유산 보호 협약(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을 통해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을 발굴하여 보호 및 보존하는 구체적인 작업을 시작하였다. 이들은 점진적으로 그 틀을 문화유산, 자연유산 및 복합유산으로 이루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도 세계적으로 자랑할 만한 문화유산들을 상당히 보유한 국가이다. 현명한 조상님들의 업적이라 생각해도 좋을 것 같다. 대한민국은 10개의 문화유산과 1개의 자연유산을 등재하였고, 북한은 2개의 문화유산을 등재하였다. 여기서 소개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센터 홈페이지는 이들의 지리적 위치, 사진, 유산의 개요,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 및 역사적 내용까지 담고 있다.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취득되기 어려운 귀중한 정보가 고스란히 한 자리에 있어 누구나 손쉽게 열람할 수 있다. 이 시간에도 외국의 어느 도시에 살고 있는 대학생이 이를 보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국의 문화를 접하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유네스코 세계유산 센터 홈페이지는 고유의 문화를 알릴 수 있는 폭넓은 창구이기도 하다.

소개된 홈페이지는 영문으로 작성되어 있지만 익히 들어 알고 있는 해인사 장경판전 및 종묘나 이집트의 피라미드, 영국의 스톤헨지도 있어 외국어의 어려움도 다소 경감된다. 한글로 소개되는 ‘유네스코와 유산’이라는 홈페이지도 있지만 굳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센터 홈페이지를 권함은 그 정보가 방대하고 구체적이며 종합적인 특성을 고려해서이다. 시간을 내어 이 홈페이지를 살펴보면 단순히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을 소개한 딱딱한 목록을 마주함이 아니라 문자가 사용되기 이전까지 거슬러 과거로 떠나는 간접경험까지 가능하다. 또한 세계적인 유산에 투영된 앞선 인류의 삶도 얼마간 느껴진다.

한류의 열풍으로 세계에서 우리를 바라보는 시선이 예전과는 다르다. 대중문화의 전파력은 국격에도 영향을 미쳐 세계화로 이르는 듯하다. 다만, 진정한 세계화는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가 선행될 때 가능하다. 그 문화는 단시간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쌓이고 다듬어져 오늘에 이른 것이다. 문화의 힘으로 일궈낸 결과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면 이는 클래식이라 할 수 있는데 세계유산은 바로 세계화된 클래식이다. 잠시 시간을 내어 우리에게 남겨진 인류의 유산이 무엇인지 되돌아보며 가을의 여가시간을 보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관련기사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모든 존재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이들에게,  ‘어머니와 나’ 오늘도 밥은 제때 먹었는지, 수업에서 ‘예시’를 들어 쉽게 설명했는지 물으시는 아빠께 툴툴거렸다. 당신 딸의 나이가 별로 실감나지 않으시는 눈치다. 사실, 저 안에 담긴 아빠의 마음을 모르지 않는다. 그래 놓고 돌아서서 후회하는 나 같은 학생들이 많으리라. 이 책은 어느 이름 모를 여사님의 일상 목소리를 기록한 것이다. 대화의 상대이자, 책의 저자인 김성우는 바로 그녀의 아들. 70대 초반쯤 되셨을 법한 여사님은 일상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상황-거창한 시대적 사건부터 천 원에 산 감자 이야기까지-에 대한 단상들을 꾸밈없는 잔잔한 언어로 들려준다. 그런데 책을 읽어가다 보면 모든 이야기가 편편이 분절된 것이 아닌, 세월만큼 깊어진 그녀의 너그러운 지혜로 꿰어졌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 책은 한 여인이 존재했음을 증명하는 구술사이자 그녀의 에세이요, 삶에 대한 성찰을 담은 철학서인 것이다. 문학과 철학의 언어는 때로 우리에게 추상적으로 다가온다.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는 별 관련 없는, 재주 많은 이들의 영역인양 느껴지기도 한다. 리터러시 연구자로서 문자 자체에 대한 이해력을 넘어 삶이 스며있는 소통에 대해 이야기 해 온 저자는 “나의 어머니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