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5.6℃
  • 흐림강릉 29.6℃
  • 구름조금서울 26.7℃
  • 구름많음대전 26.3℃
  • 구름많음대구 28.1℃
  • 맑음울산 27.4℃
  • 구름조금광주 26.3℃
  • 구름조금부산 26.2℃
  • 구름조금고창 25.0℃
  • 구름많음제주 25.5℃
  • 맑음강화 19.6℃
  • 구름많음보은 26.4℃
  • 구름많음금산 24.8℃
  • 맑음강진군 26.4℃
  • 구름조금경주시 28.5℃
  • 맑음거제 24.4℃
기상청 제공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할레드 호세이니, ‘연을 쫓는 아이’

제가 추천하는 『연을 쫓는 아이』는 아프가니스탄 태생의 미국 작가 할레드 호세이니가 쓴 첫 번째 장편소설입니다. 동명의 영화로도 제작됐지만 책이 훨씬 매력적입니다.

세계문학을 고를 때나 추천할 때면 늘 보편성과 특수성을 동시에 갖춘 문학을 권해 주곤 합니다. 『연을 쫓는 아이』는 서술자이자 주인공인 아미르의 성장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보편성을, 아프가니스탄의 전통놀이인 연날리기의 아름다움과 아프가니스탄이 처한 상황 때문에 유년기를 빼앗겨버린 아이들의 비극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특수성을 담고 있습니다. 그래서 읽고 나면 아미르가 어린 시절 저지른 과오에 대한 용서를 비는 과정에도 공감하게 되지만, 뉴스에서 수없이 접했음에도 별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아프가니스탄의 특수한 상황과 그곳의 아이들에 대해서 가슴이 시려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책은 그곳의 특수한 상황을 세계 곳곳에 전해주고 이를 누구나 공감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것이야말로 바로 문학의 힘이라고 생각합니다.

『연을 쫓는 아이』의 전반부는 연날리기 대회와 아프가니스탄의 계급제도로 인해 신분이 다른 파쉬툰인 아미르와 하자라인 하산 사이의 우정이 주요 내용입니다. 그들의 유년시절을 아름다움으로 물들이는 것은 바로 연날리기 대회입니다. 이 대회는 상대의 연을 모두 끊어 내고 마지막으로 맞붙은 상대의 끊어진 연을 찾아와야만 우승자로 인정받습니다. “도련님을 위해서라면 천 번이라도 그렇게 할게요.”라며 끊어진 연을 쫓아가던 하산은 아세프 일당에게 성폭행 당하고 아미르가 그 장면을 목격합니다. 그러나 아미르는 아무런 행동도 취하지 못하고 돌아서고 맙니다. 이 사건은 아미르에게 죄의식으로 남습니다. 『연을 쫓는 아이』의 후반부는 아프가니스탄 아이들이 유년기를 빼앗기게 되는 과정과 아미르가 하산에게 저지른 죄를 속죄하는 과정으로 채워집니다. 『연을 쫓는 아이』를 읽는 팁은 이처럼 아미르의 성장과정이라는 보편적인 주제와 함께 그 속에 녹아 있는 전통놀이인 연날리기라든가 탈레반 정권과 미국과의 전쟁으로 인해 피폐해진 아프가니스탄의 특수한 상황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9·11테러로 미국이 감행한 아프가니스탄의 공격과 아프가니스탄 내부에서 탈레반 정권의 통치로 인해 고통 받는 어린 시절을 보낸 아이들에게 ‘유년기가 없다’는 것이 얼마나 절망적일 수 있는가를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