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5.3℃
  • 맑음강릉 27.4℃
  • 구름많음서울 26.9℃
  • 구름많음대전 25.6℃
  • 구름많음대구 27.1℃
  • 구름많음울산 22.9℃
  • 흐림광주 24.0℃
  • 흐림부산 21.3℃
  • 구름많음고창 24.1℃
  • 맑음제주 25.3℃
  • 구름많음강화 22.8℃
  • 흐림보은 24.5℃
  • 구름많음금산 24.6℃
  • 흐림강진군 25.3℃
  • 구름많음경주시 26.1℃
  • 구름많음거제 22.4℃
기상청 제공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영화 ‘인천상륙작전’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 북한이 기습 남침을 강행하여 3일 만에 우리나라의 수도(서울)가 북한군에게 함락 당하고, 낙동강 동쪽을 제외한 전 지역이 북한군 손에 들어가게 된 6.25 전쟁 당시 열세에 몰려있던 우리가 전세를 역전 시켰던 감동적인 ‘인천상륙작전’을 다룬 영화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당시 유엔군을 이끄는 총사령관인 맥아더 장군은 아군의 피해를 생각해서 전면전보다는 남해와 서해를 돌아 인천으로 상륙하는 작전을 세웠는데, 인천은 서울과 얼마 떨어져 있지 않아 수도를 회복함으로 적에게 심리적 타격을 줄 수 있으며, 식량과 탄약을 보급하는 주요 도로를 차단 할 수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미국 합동참모본부와 미 해군은 반대 의견이었습니다. 261척 7만 명의 유엔군이 상륙하기에 인천은 수로가 너무 좁고, 큰 조수간만의 차로 2시간이라는 제한된 상륙시간 때문에 성공확률이 1/5000밖에 안 되는 매우 위험한 작전이라고 판단하였지만, 맥아더 장군에게는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 오히려 적이 방심하는 장소가 될 수 있다고 보는 긍정적인 눈이 열려 있었습니다.

우리의 인생길에도 나아가는 길을 막는 수많은 어려움과 불가능해 보이는 상황들이 우리를 넘어뜨리려 할지라도 믿음의 눈으로 사물을 바라본다면 불가능한 것을 가능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좋은 것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된다는 것을 꼭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인천상륙작전을 가능케 한 것은, ‘직전 교란 작전’으로 총 쏘는 실력이 미숙한 10대 어린 학생들의 희생과 상륙 작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수로에 배치되어 있는 기뢰의 제거의 임무를 수행하며, 적과의 교전 끝에 점령한 등대 불빛으로 맥아더 장군의 함대가 인천으로 무사히 상륙할 수 있도록 도왔던 우리나라 해군부대의 희생 덕분입니다. 결국, 서울이 수복되고 우리 군인들은 북진하여 압록강, 두만강까지 진격하게 되었습니다.

이렇듯 선조들의 피 값으로 우리나라는 60여 년간 평화를 누리며, 경제적으로 세계 11위라는 급격한 경제 성장을 이루어 왔습니다. 하지만 국민들의 행복지수는 상대적으로 낮으며, 국제적으로는 중국과 일본의 강대국 사이에 낀 형국입니다. 또한 최근에는 북한의 핵실험, 잦은 지진 등으로 나라가 어수선한 이때에 우리 모두는 하나가 되어 속임수나 무리수 보다는 정석대로 어려운 상황에도 잘 적응하며 철저한 자기관리로 더욱 건강하고 성장이 있는 우리나라를 후손들에게 물려줬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