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0.4℃
  • 맑음강릉 -0.9℃
  • 구름많음서울 2.6℃
  • 구름많음대전 2.0℃
  • 흐림대구 1.5℃
  • 흐림울산 1.5℃
  • 흐림광주 3.2℃
  • 흐림부산 3.9℃
  • 흐림고창 0.9℃
  • 흐림제주 6.4℃
  • 구름많음강화 -3.1℃
  • 흐림보은 1.6℃
  • 흐림금산 1.0℃
  • 맑음강진군 2.5℃
  • 구름많음경주시 0.3℃
  • 구름많음거제 3.5℃
기상청 제공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프랑스 근현대복식 단추로 풀다

매일 옷을 입을 때마다 무심코 잠그는 단추.

빠른 변화 속에서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단추라는 작은 모티브가 많은 의미를 남기고 디자이너와 장인들이 디자인, 제작한 단추를 감상 할 수 있는 전시회가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그림은 많은 장소에서 전시를 하지만 복식의 일부분으로 사용되는 단추 전시는 매우 드문 경우로 이번 특별전 ‘프랑스 근현대복식 단추로 풀다’는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전시 중이다.

특히 한국-프랑스 수교 13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단추, 옷, 책을 비롯한 1800여 소장품이 선보이는 전시회이다.

이번 특별전은 로익 알리오(Loic Allio)에 의해 수집 된 3천여 개의 방대한 단추 중 일부분으로 프랑스 중요문화자산으로 지정될 만큼 중요한 문화유산을 대구에서 관람할 수 있다는 데 전시회를 위해 애쓰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해야 할 것 같다.

이 전시는 유럽에서 문화의 선두에 섰던 프랑스의 18-19세기의 복식 흐름을 볼 수 있다. 기능적 역할에서 화려한 장식 수단으로 귀족들의 지위나 신분을 과시하여 옷보다 비싼 단추가 등장하기도 하고, 작은 단추 하나에서 그 시대의 문화상과 사회상을 엿볼 수 있다는 것은 큰 의미를 가진다. 단추의 형태, 소재, 문양, 제작 기술 등 다양함과 함께, 작은 사이즈의 단추가 어떻게 역사적 자료가 되고 사회의 문화를 반영하고 정체성과 지향성을 드러내는 주요 장식으로 자리잡았는지를 중점으로 관람하는 것도 포인트이다.

특히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옷의 잠금장치 중 하나인 단추를 주제로 단추의 재질, 기법, 형태 등이 소개되어 있고 단추를 중심으로 의복, 회화, 드로잉, 사진, 공예, 조각 등 다양한 전시품이 보기 쉽게 전시되어 있다.

일일이 손으로 잠그고 풀어야 하는 번거로운 단추가 아직까지 의복에 사용되고 있는 것만 보아도 단추의 의미는 크다. 작품을 볼 때마다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돌아가 내가 그 옷의 단추를 끼우고 있는 주인공이라고 상상해보면 어떨까?

관련기사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모든 존재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이들에게,  ‘어머니와 나’ 오늘도 밥은 제때 먹었는지, 수업에서 ‘예시’를 들어 쉽게 설명했는지 물으시는 아빠께 툴툴거렸다. 당신 딸의 나이가 별로 실감나지 않으시는 눈치다. 사실, 저 안에 담긴 아빠의 마음을 모르지 않는다. 그래 놓고 돌아서서 후회하는 나 같은 학생들이 많으리라. 이 책은 어느 이름 모를 여사님의 일상 목소리를 기록한 것이다. 대화의 상대이자, 책의 저자인 김성우는 바로 그녀의 아들. 70대 초반쯤 되셨을 법한 여사님은 일상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상황-거창한 시대적 사건부터 천 원에 산 감자 이야기까지-에 대한 단상들을 꾸밈없는 잔잔한 언어로 들려준다. 그런데 책을 읽어가다 보면 모든 이야기가 편편이 분절된 것이 아닌, 세월만큼 깊어진 그녀의 너그러운 지혜로 꿰어졌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 책은 한 여인이 존재했음을 증명하는 구술사이자 그녀의 에세이요, 삶에 대한 성찰을 담은 철학서인 것이다. 문학과 철학의 언어는 때로 우리에게 추상적으로 다가온다.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는 별 관련 없는, 재주 많은 이들의 영역인양 느껴지기도 한다. 리터러시 연구자로서 문자 자체에 대한 이해력을 넘어 삶이 스며있는 소통에 대해 이야기 해 온 저자는 “나의 어머니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